변비의 정의 사람마다 다르지만 보통 1주 변횟수가 3회 미만이면 의심을 할 수 있다. 변비는 크게 두가지로 나뉨 기질성 변비 대장내부의 염증, 협착, 다른 질환들에 의해 대장이 구조적으로 막히거나 당뇨, 갑상선질환, 임신, 탈수 같은 전신 질환에 의해 발생하는 것 기능성 변비 1. 이완성변비 - 대장의 운동성 저하로 변을 이동시키는 힘이 약해져 발생 주로 고령자, 장기입원환자, 체력저하자에게 나타나며 이완성 변비의 치료는 대장운동을 촉진시키며 대변의 윤활제로 작용할 수 있는 점액을 보충해야 한다,(단백질, 코큐텐, 빈혈교정) 이완성 변비에는 식이섬유가 좋음 2. 경련성 변비 - 대장의 경련으로 변이 이동하지 못해 발생하는 변비 변이 조각나서 토끼똥처럼 나오거나 가늘게 나오는 경향이 있다. 스트레스와도 관..
빔스크정 Lacosamide 라코사미드 lacosamide는 나트륨 channel의 느린 활성화를 강화시켜 과흥분된 신경 세포막을 안정화시키고 반복적인 신경 흥분을 억제함. Lacosamide : 1일 최대 투여량 - 400mg 이 약은 1일 2회 복용해야 한다. 초회 권장량은 1일 2회, 1회 50mg이며, 1주 후 1일 2회, 1회 100mg으로 증량해야 한다. 임상반응 및 내약성에 따라, 유지량은 매주 1일 2회, 1회 50mg씩 증량할 수 있으며, 최대 권장투여량은 1일 400mg(1일 2회, 1회 200mg) 이다. 이 약의 투여를 중단해야 하는 경우 점차적으로 감량하는 것이 권장된다. (예 : 1일 투여량을 매주 200mg씩 점차 감량투여함) 이 약은 식사여부와 관계없이 복용이 가능하다. 특이..
테트로닌 (사진은 5ug) Liothyronine 테트로닌은 보통 유지요법으로 사용되진 않고 갑상선 기능 진단이나 갑상선암의 방사선 치료 전에 사용한다. 갑상선기능저하증(원발성 및 뇌하수체성), 점액부종, 크레틴병, 단순성 갑상선종, 결절성 갑상선종, 만성 갑상선염, 검사전에 사용한다. T3 투여시 음성피드백 작용을 통해 TSH TRH가 감소하지 않으면 갑상선 기능 항진증으로 생각됨 1. 테트로닌은 T3단독 제제로 T4 단독제제인 씬지로이드 씬지록신에 비해 심장독성이 심하고 안정적인 갑상선 호르몬의 농도 유지가 어렵기 때문에 유지요법으로는 선호되지 않는다. 2. T4는 체내에서 사용직전 T3로 대사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체내의 항상성 기전을 이용해 T4를 공급하는 것이 더 좋다고 생각된다. 3. T3 단독..
Praziquantel 프라지콴텔 600mg 주혈흡충(schistosomes)에서 칼슘에 대한 세포 투과성을 증가시켜 기생충 근육계의 강한 수축과 마비를 일으키고 이는 기생충이 혈관벽으로부터 떨어져나와서 제거가 되게 함. 1. 간흡충, 폐흡충 및 주혈흡충 감염의 치료 2. 무구조충, 유구조충, 남아메리카 어류조충, 왜소조충 등 각종 조충 감염의 치료 디스토마나 기생충 치료제 2. 용량 용량은 의사의 지시에 따라 각각의 경우에 맞게 결정해야 하며, 치료할 기생충 종류에 따라 프라지콴텔로서 체중 kg당 20~40mg씩 1일 1회에서 3회까지 투여하도록 한다. 1) 간흡충 치료 : 1회 체중 kg당 25mg을 1일 3회 1일간 투여한다. 2) 폐흡충 치료 : 1회 체중 kg당 25mg을 1일 3회 2일간 투여..
삼스카 Tolvaptan 삼스카는 세계 첫 경구용 저나트륨혈증치료제로 기대를 모았으며, 2013년 6월 건강보험 급여로 환자들의 약제 사용 기회가 확대됐다. 저나트륨혈증은 입원 환자에서 발생하는 전해질 이상 중 하나로 심할 경우 치명적인 신경학적 증상을 유발하며 환자의 생존율에도 영향을 미치는 질환이다. 그동안 생리식염수와 이뇨제를 함께 사용하는 방법으로 치료를 했지만, 이런 방식은 기저질환을 악화시킬 가능성이 있어 의료현장에서는 삼스카 같은 전문 치료제를 기다려왔다. 고혈량성(hypervolemic) 또는 정상혈량성(euvolemic)인 저나트륨혈증 [혈청 중 나트륨 농도가 125mEq/L 미만의 저나트륨혈증, 또는 증상이 있으며 수분제한에 의한 보정을 할 수 없는 저나트륨혈증]의 치료에 사용 1일 1..
아토젯 (아토르바 스타틴, 에제티밉 복합제) 스타틴계는 LDL 감소를 위한 제 1차 선택약물 (고 TG혈증의 1차 선택약은 Fibrate계열인 Gemfibrozil이나 Fenofibrate다.) 스타틴계 약물은 pleiotropic effect 를 가진다. 1. 염증감소 2. 내피기능이상 역전 3. 혈전감소 4. atherosclerotic plaque의 안정성 증가 1. 아토르바 스타틴은 CYP3A4에 의해 대사되기 때문에 CYP3A4억제제인 다음 약물을 투여시 약물 농도가 증가할 수 있다. 1. 마크로라이드 계열 항생제 (Erythromycin, clarithromycin) 2. 항진균제인 Itraconazole 3. 면역억제제인 cyclosporin CYP3A4유도제인 다음 약물을 투여시 약물 농도..
소화, 정장 및 지사, 진정 및 진경 등 3대작용 통해 어린이의 건강지표인 쾌식, 쾌변, 쾌면을 도움 어린이 ~ 성인의 위장관계 질환 즉 구역, 구토, 소화불량, 과식, 식체, 변비, 설사, 복부팽만감에 모두 사용 1세(12개월) 이상 어린이에게 복용가능하며 3개월 미만은 금기 3개월 ~ 12개월은 의사진료를 권하지만 피치 못한 경우 사용 1일 3회 식후에 연령에 따라 적절한 용량을 복용하며 알러지를 주의한다. 감초 - 소화기관 안정 아선약 - 아카시아 잎이나 가지를 조려서 만든 약재로, 열을 내리고 소아의 소화불량 개선에 도움 육계 - 5년 이상 자란 계수나무의 두꺼운 껍질로, 배가 차고 더부룩한 속을 편안하게 해주며 설사를 멈춤 인삼 - 원기를 북돋아 설사 발생을 막아줌 황백 - 위액분비 촉진으로 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