곰팡이 감염을 백선증이라 하며 백선증은 머리백선, 얼굴백선, 몸백선, 완선(사타구니 백선), 발백선(무좀), 손발톱 백선(손발톱 무좀) 으로 나뉜다. 무좀 곰팡이균에 의해 발생 곰팡이균은 가족간 전염이 가능하고 애완동물 - 사람간 전파도 가능하다. (떨어진 각질에 의해 전염가능) 발뿐만 아니라 손, 몸, 머리, 음부 등 다양한 부위에 감염 가능하다. 발은 그렇지 않지만 피부의 진균 감염은 경계가 명확하고 원형으로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76%가 발과 손발톱 무좀이며 피부 무좀은 20%정도 피부의 무좀은 바르는 약을 사용하여 1달 이내로 해결 발톱무좀은 짧으면 3달 길면 1년까지 걸린다. 발톱무좀은 가장 치료가 어렵다. 먹는약과 바르는약 병행이 가장빠른 회복 몸에 자꾸 백선(무좀, 곰팡이)가 생기는 경우 ..
토피라이 Topiramate 식욕억제를 위해 사용 플록센 Fluoxetine SSRI 중 식욕감소 작용이 가장 강하다. SSRI 중 식욕증가 작용이 가장 강한 것은 Paroxetine 페티노 Phendimetrazine 교감신경을 흥분시켜 식욕을 감소시킴 Topiramate 부작용을 이용한 예 부작용이 식욕 부진이다. 졸음 부작용이 있긴한데 펜디메트라진과 같이 투여해서 그럴 걱정은 없을듯 Fluoxetine 신경성 식욕과항진증 이 약은 위약 투여군과 비교했을 때 탐식과 사하행동에서 유의성 있는 감소를 나타냈다. 이 약의 16주 이상 장기 투여에 대한 유효성은 대조시험을 통해 체계적으로 평가되지 않았으므로 장기투여할 경우에는 개개 환자에 대한 유용성을 정기적으로 재평가한다. Phendimetrazine P..
역류성 식도염의 여러가지 원인 1. 소금을너무 안먹으면 산분비가 잘 안된다. (쓸모없는 묽은산이 다량 분비된다.) 다량 분비된 산에의해 역류가 발생하면 역류성 식도염의 가능성 2. 혈압약을 먹는 경우 혈압만 낮추는게 아니고 하부식도괄약근의 압력도 낮춰버려서 역류가 발생하기도 한다. (CCB가 대표적) 3. (CCB가 대표적) 테오필린도 문제가 되는경우 있음 4. 과식하거나 빵, 떡같이 소화되기 어려운 음식을 먹는경우에도 역류의 가능성 (과식이나 소화되기 어려운 음식은 위의 운동성을 저하시켜 역류가능성 높임) 5. 스트레스 (위산분비 증가) 6. 커피 피하기, 금주(위벽자극해서 위산분비 증가) 금연(침분비감소, 위벽의 위산방어인자 합성감소, 하부식도 조임근을 느슨하게 만들어 역류가 잘됨) 7. 기름지고 맵..
구강작열감 증후군 통증은 주로 혀 부위에 나타나지만 잇몸, 입술, 뺨 안쪽 및 입천장에도 나타난다. 화끈, 따끔, 얼얼한 느낌이 지속되고 오전보다 오후에 통증이 심해지기도 한다. 금속이 접촉되었을 때처럼 신맛이 강하게 느껴지고, 입마름이 자주 느껴지기도 한다. 겉으론 멀쩡하지만 통증이 하루 종일 이어지는가 하면, 입 안에서 벌레가 스멀스멀 기어가는 느낌이 들기도 하고, 쇠맛이 나는 등 맛을 제대로 느낄 수 없어 삶의 질을 크게 떨어뜨리는 질환입니다. 질병분류기호는 [K14.9] 혀의 상세불명 질환 구강작열감증후군의 유병률과 원인 이러한 구강작열감의 증상은 우리나라 55세 이상 남녀 14.3% 정도가 경험하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습니다. 이 질환은 주로 폐경기 이후 여성에게서 많이 나타나기 때문에 여성 호..
대학병원에서 종종 눈에 넣도록 처방이 나온다. 프로토픽 연고 원래의 프로토픽 연고는 ○ 0.03%1) 발적 치료 다음 환자의 중등증~중증의 아토피성 피부염의 2차치료제: - 면역기능이 정상인 성인 및 만2세 이상의 소아 환자로서, - 외용 코르티코스테로이드와 같은 대체요법이나 기존치료법에 효과가 없거나 내약성이 있는 환자2) 유지요법 본 제제에 치료 효과를 보이는 만 2세 이상 만 15세 이하의 소아 환자에서 발적 예방 및 발적이 없는 기간의 연장을 위한 중등증~중증의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 ○ 0.1% 1) 발적 치료 다음 환자의 중등증~중증의 아토피성 피부염의 2차치료제: - 면역기능이 정상인 성인 및 청소년 환자(만 16세 이상)로서, - 외용 코르티코스테로이드와 같은 대체요법이나 기존치료법에 적절히..
멀미의 발생 원인 눈으로 받아들이는 시각정보와 뇌에서 인지하는 감각 정보가 불일치해서 발생하는 것 일반적으로 걷거나 뛸 때는 보고 듣는 것과 뇌에서 인지하는 정보가 일치한다. 하지만 차나 비행기, 배를 탈 경우 시각정보는 앞으로 간다고 느껴지지만 실제 뇌에서 인지하기는 앞으로만 가는 것이 아니고 위아래 왼쪽 오른쪽으로 예고 없이 움직이기 때문에 두 감각이 일치하지 않아 멀미가 발생한다. 그래서 본인이 운전을 할 경우 어느 정도 방향이 예상되고 시각 정보와 뇌에서 인지하는 정보의 일치율이 높아져 멀미를 덜하기도 한다. 비포장 도로를 달리는 경우는 위아래 진폭이 심해 운전을 본인이 함에도 불구하고 멀미를 하는 경우가 있다. 멀미는 토하는 증상뿐만 아니라 메스꺼움, 손발이 차갑게 되고, 가슴이 두근거리고, 불..
https://www.pharmmaker.com/precriptions/6307821 다낭성 난소증후군 정리글 다낭성난소증후군 (PCOS) 우선 이름조차 낯선 다낭성난소증후군 (PCOS, polycystic ovary syndrome)에 대해 몇 가지 알아보자. 보통 여성의 몸은 한달에 한번, 약 28일주기로 난포가 성장하고, 좀 더 빨리 성숙한 난포가 난자를 배출하는데, 이 과정을 배란이라고 한다. 그런데, 간혹, 여러 개의 난포가 성장하다가 멈춰서 난자로 배출되지 못하고, 배란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호르몬의 불균형이 있을 경우 배란장애가 일어나고, 배란이 되어야 할 시기에 되지 않고, 난소에 배란되지 않은 난포가 초음파 사진에서 포도알처럼 송글송글 맺혀서 여러 개 보이게 된다. 배란이 되지 않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