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의 복용법은 식전/식후/취침전/n시간 간격/공복 등이 있다. 식전은 공복에 먹어야 효과가 좋거나 식사와 관련되면 효과가 떨어지는 약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식전 30분정도가 일반적이며 음식과 상호작용이 클 경우 식전 1시간이나 식후 2시간으로 복약한다. 취침전은 자기전에 먹어야 효과가 좋거나 아침식전의 복약순응도가 떨어지는 경우 사용한다. n시간 간격 복용은 약의 혈중농도를 유지시키는 것이 중요할 때 사용한다. n일간격 복용도 있다. 메토트렉세이트나 카베르골린 같은경우 근데 흔하진 않음 공복복용은 식전 1시간이나 식후 2시간을 의미한다. 가장 흔히 보는 약은 스멕타가 이렇게 복용하며 공복 복용이 권장되는 항암제들도 모두 이런식으로 먹는다. 식후약은 30분을 지킬필요는 없다. 식후약은 식사직후로 생각해도 된..
경옥고 동의보감에 기재되어 있는 보약 생지황 백복령 인삼 꿀 네가지 약제로 되어 있음 이들을 5일간 달여서 만든다. 생지황은 우리몸의 진액을 채워주고 백복령은 불순물제거, 정서안정 인삼은 기운을 올리고 몸을 따뜻하게 꿀은 각 약제의 조화를 맞춰줌 보통 경옥고는 우리 몸안의 진액을 보충해서 기능을 보충하는 것 피부의 진액부족 = 쭈글쭈글해짐 오장육부의 진액부족 = 기능저하 좀 꾸준히 먹어야 효과적임 복용대상은 젊은 사람부터 노년층까지 모두 가능 수험생의 경우 진액이 장기간 소모되는 작업을 계속 하므로 권해줄만함 못살던 시대에는 밥을 잘 먹게하고 기운이 나게하는 약이 보약 -> 인삼, 홍삼제품 최근은 먹거리나 영양이 부족하기 보단 활동을 많이 하고 에너지를 쓰며 진액이 소모된다고 생각되므로 진액이 부족한 사..
프로-캄 파우더 정리 프로-캄 베베 수딩 파우더는 가루 날림을 최소화한 압축형 파우더로, 땀나고 습기가 많은 피부를 효과적으로 진정시킨다. 유소아는 일반적으로 성인보다 체온이 높고 피부에 접히는 부분이 많아 기온이 오르고 야외 활동이 많아지는 봄ㆍ여름철에 땀띠로 인한 따끔함이나 가려움증이 발생하기 쉽다. 특히 이번 ‘프로-캄 베베 수딩 파우더’는 유해성 논란이 있는 탤크(탈크라고도 하며 석면이 불순물로 섞여서 논란)성분 대신 식물성 성분인 옥수수 전분으로 피부 습기를 조절하고, 프로바이오틱스 3종 복합물이 함유돼 피부 방어력을 강화하는데 도움을 준다는 것이 한미약품 측 설명이다. 또한 신생아 태지(양수로부터 태아 피부를 보호하는 성분)유사성분과 알란토인 및 판테놀이 함유돼 피부 보습 및 보호에도 효과가 ..
시멘트독 우리가 시멘트의 특성을 혼동하여 이라고 하는데, 그것은 시멘트의 특성이 물과 결합하면 강한 알칼리성(pH 12)이 되기 때문입니다. 시멘트를 손으로 만지면 안 좋다는 이유가 손에 있는 땀(수분)과 결합하여 강한 알칼리성이 되기 때문입니다. 강한 산성과 마찬가지로 강한 알칼리성도 피부에 안좋습니다. 염산을 직접 손으로 만지지 않듯이 시멘트를 취급할 때는 보호 장구를 착용해야 합니다. 시멘트가 알칼리인 이유 그러면 왜 시멘트가 강한 알칼리성을 띠어야 할까요? 건물을 지을 때 내부골조에 철근을 사용하는데, 시멘트의 알칼리 성분이 철근을 감싸서 산성 물질의 접근을 차단하게 됩니다. 만약에 철이 산성 물질과 결합하면 녹이 슬고 팽창하여 건물에 균열이 생기는 등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합니다. 시멘트의 입장에..
http://m.amc.seoul.kr/asan/mobile/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3886&diseaseKindId=C000018 어루러기 | 질환백과 | 의료정보 | 건강정보 | 서울아산병원 곰팡이균의 일종인 말라세지아 푸르푸르(Malassezia furfur)라는 효모균이 피부 각질층에 과다 증식되어 나타나는 피부 질환입니다. 이 균은 정상인의 피부에 상시 존재하고 있는데 피부 산성도(pH)�� m.amc.seoul.kr 정의 감염은 말라세지아 푸르푸르로 인해 발생하고, 특히 젊은 성인들에서 많이 감염됩니다. 말라세지아 푸르푸르는 효모와 곰팡이로 존재할 수 있는 일종의 진균입니다. 효모와 곰팡이는 진균이 현미경 아래에서 보이는 양상을 설명..
곰팡이 감염을 백선증이라 하며 백선증은 머리백선, 얼굴백선, 몸백선, 완선(사타구니 백선), 발백선(무좀), 손발톱 백선(손발톱 무좀) 으로 나뉜다. 무좀 곰팡이균에 의해 발생 곰팡이균은 가족간 전염이 가능하고 애완동물 - 사람간 전파도 가능하다. (떨어진 각질에 의해 전염가능) 발뿐만 아니라 손, 몸, 머리, 음부 등 다양한 부위에 감염 가능하다. 발은 그렇지 않지만 피부의 진균 감염은 경계가 명확하고 원형으로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76%가 발과 손발톱 무좀이며 피부 무좀은 20%정도 피부의 무좀은 바르는 약을 사용하여 1달 이내로 해결 발톱무좀은 짧으면 3달 길면 1년까지 걸린다. 발톱무좀은 가장 치료가 어렵다. 먹는약과 바르는약 병행이 가장빠른 회복 몸에 자꾸 백선(무좀, 곰팡이)가 생기는 경우 ..
토피라이 Topiramate 식욕억제를 위해 사용 플록센 Fluoxetine SSRI 중 식욕감소 작용이 가장 강하다. SSRI 중 식욕증가 작용이 가장 강한 것은 Paroxetine 페티노 Phendimetrazine 교감신경을 흥분시켜 식욕을 감소시킴 Topiramate 부작용을 이용한 예 부작용이 식욕 부진이다. 졸음 부작용이 있긴한데 펜디메트라진과 같이 투여해서 그럴 걱정은 없을듯 Fluoxetine 신경성 식욕과항진증 이 약은 위약 투여군과 비교했을 때 탐식과 사하행동에서 유의성 있는 감소를 나타냈다. 이 약의 16주 이상 장기 투여에 대한 유효성은 대조시험을 통해 체계적으로 평가되지 않았으므로 장기투여할 경우에는 개개 환자에 대한 유용성을 정기적으로 재평가한다. Phendimetrazine P..
역류성 식도염의 여러가지 원인 1. 소금을너무 안먹으면 산분비가 잘 안된다. (쓸모없는 묽은산이 다량 분비된다.) 다량 분비된 산에의해 역류가 발생하면 역류성 식도염의 가능성 2. 혈압약을 먹는 경우 혈압만 낮추는게 아니고 하부식도괄약근의 압력도 낮춰버려서 역류가 발생하기도 한다. (CCB가 대표적) 3. (CCB가 대표적) 테오필린도 문제가 되는경우 있음 4. 과식하거나 빵, 떡같이 소화되기 어려운 음식을 먹는경우에도 역류의 가능성 (과식이나 소화되기 어려운 음식은 위의 운동성을 저하시켜 역류가능성 높임) 5. 스트레스 (위산분비 증가) 6. 커피 피하기, 금주(위벽자극해서 위산분비 증가) 금연(침분비감소, 위벽의 위산방어인자 합성감소, 하부식도 조임근을 느슨하게 만들어 역류가 잘됨) 7. 기름지고 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