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시간전
close
프로필 배경
프로필 로고

3시간전

  • 분류 전체보기 (1927) N
    • 생활 (159)
      • 재테크 (207)
      • 차량정비 (12)
      • 티스토리 관리 (30)
      • 블로그 스팟관리 (9)
      • 여행 준비, 후기 (7)
    • 약물학 (504)
    • 복약지도 (392)
    • 공인중개사 (49)
    • 약대 면접 스터디 (38)
    • 오건영 에세이 정리 (255)
    • 내가 가본 식당 저장용 (201)
    • 팔월드, 팰월드 (32) N
    • 마비노기 모바일, 모비노기 (30) N
약 이름 SR ER CR XR XL OR GR의 뜻, 의미, 차이점, 특징 / 가루, 절단이 불가능한 약

약 이름 SR ER CR XR XL OR GR의 뜻, 의미, 차이점, 특징 / 가루, 절단이 불가능한 약

SR ER CR XR XL OR GR의 의미 및 특징 어떤 글자를 약어로 하는지는 제약사가 제품별로 정하며 브랜드명에 차별화를 원한다면 새롭게 만들어도 상관없습니다. 예를 들어 한국아스트라제네카의 쎄로켈에 XR을 붙인 것은 X가 다이나믹한 이미지를 갖고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화이자는 같은 화이자 제품임에도 심장약 카두라에는 XL을 붙이고, 요실금치료제인 디트루시톨에는 SR을 붙입니다. 심장약인만큼 액티브한 느낌을, 요실금 치료제인만큼 부드러운 느낌이 나도록 약어를 골랐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1. ER (XR, XL) 제제 (Extended-Release preparation, PR(Prolonged-Release), RA(Repeat Action) - 약물이 초회 방출된 후 일정시간 간격을 두고..

  • format_list_bulleted 복약지도
  • · 2023. 7. 9.
  • textsms
2024년도 조제 일수별 약국 조제료 표

2024년도 조제 일수별 약국 조제료 표

2024년도 약국 조제료 조견표 (내복약 기준)2024년도 수가인상률이 확정되었습니다.약국은 1.7% 의원은 1.6%입니다. 2024년도 약국 조제 일수별 조제료는 다음과 같습니다.투약일수총조제료 (금액)기본가루약마약류포함15,7906,4506,05026,0106,6706,27036,6107,2706,87046,9307,5907,19057,3408,0007,60067,6608,3207,92078,1508,8108,41088,3609,0208,62098,6209,2808,880108,9909,6509,250119,2809,9409,540129,56010,2209,820139,85010,51010,1101410,78011,44011,0401510,91011,57011,17016~2011,69012,35011..

  • format_list_bulleted 복약지도
  • · 2023. 6. 29.
  • textsms
아기 꿀 언제부터 먹을 수 있을까요? 프로폴리스, 로얄젤리 먹을 수 있는 나이

아기 꿀 언제부터 먹을 수 있을까요? 프로폴리스, 로얄젤리 먹을 수 있는 나이

인터넷상에 신생아는 언제부터 꿀을 먹을 수 있는지, 그리고 돌전 아기가 꿀을 먹으면 안되는 이유에 대해 꿀 알레르기 때문에 먹으면 안된다는 등 잘못된 정보가 퍼져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신생아가 꿀을 먹으면 안되는 이유와 영아 보툴리누스 중독에 대해 정확히 알아보고 만약 영아 보툴리누스 중독이 발생했다면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보툴리누스란? Clostridium botulinum은 토양에 존재하는 세균으로 그람양성 혐기성균입니다. C. botulinum은 생존환경이 악화되면 아포(Spore)를 형성하여 휴면상태에 들어갑니다. C. botulinum은 저산성 식품에서 생존할 수 있고 아포가 활성화되면 보툴리눔 독소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생성된 보툴리누스 독소는 신경계를 공격하고 마비시킵니..

  • format_list_bulleted 복약지도
  • · 2023. 6. 27.
  • textsms
귀지(귓밥)제거약 카바시드 점이액, 세루미날 워터, 과산화수소 사용방법, 부작용, 주의사항

귀지(귓밥)제거약 카바시드 점이액, 세루미날 워터, 과산화수소 사용방법, 부작용, 주의사항

귀지(귓밥)가 생기는 이유 귀지는 영어로 Earwax, Cerumen라고 하며, 전라도와 제주도에서는 귓밥, 경남에서는 기밥, 깃밥 충남에서는 구이밥, 전북에서는 귓념, 전남에서는 귓밋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귀지는 귀의 땀샘에서 분비된 분비물이 귓속에서 떨어져 나온 표피세포와 섞여서 만들어진 일종의 때입니다. 귀지는 크게 건식귀지와 습식귀지로 나뉘는데 건식귀지는 주로 동양인에 많고 습식귀지는 서양인이 많이 가지는 특성입니다. 한국인은 거의 99%의 확률로 건식귀지를 가지며 매우 드물게 습식귀지를 가지는데 습식귀지를 가지는 사람은 아포크린샘 활성화 유전자가 비정상적으로 발현된 액취증을 가진 사람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건식귀지는 귀를 파주지 않아도 가루가 되어 매일 일정한 양이 배출되므로 일반적으로는 귀를..

  • format_list_bulleted 복약지도
  • · 2023. 6. 24.
  • textsms
사람, 고양이, 강아지 링웜 원인, 초기증상, 치료 연고, 전염성

사람, 고양이, 강아지 링웜 원인, 초기증상, 치료 연고, 전염성

링웜의 원인 링웜은 진균(곰팡이균)에 의해 발생하는 피부 질환으로 사람과 개, 고양이 등의 동물에게 감염될 수 있습니다. 링웜 초기증상 붉은색 고리모양의 피부병변이 특징적입니다. 강아지나 고양이와 같은 동물의 경우 원형으로 털이 빠진 증상이 나타납니다. 붉은색 고리형태가 나타나고 중앙은 정상과 유사하게 보이거나 고름이 차있을 수 있습니다. 링웜의 양상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지만 원형에 가까운 피부병변이 특징적이며 경우에 따라 원이 찌그러지거나 원형이 아닐 수도 있습니다. 링웜 전염성 무좀을 생각하면 링웜의 전염성에 대해 이해하기 쉽습니다. 무좀은 단순히 접촉하거나 각질화되어 떨어진 피부에만 접촉해도 전염될 정도로 전염성이 강합니다. 링웜은 무좀과 같은 진균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으로 전염력이 매우 강한 ..

  • format_list_bulleted 복약지도
  • · 2023. 6. 19.
  • textsms
모기 알레르기(스키터 증후군) 원인, 예방, 치료, 연고, 약

모기 알레르기(스키터 증후군) 원인, 예방, 치료, 연고, 약

모기 알레르기, 스키터 증후군(Skeeter Syndrome) 원인 모기는 사람의 피를 흡혈할 때 피가 굳는 것을 막기 위해 항응고 성분을 주입합니다. 주입된 모기 침의 항응고 성분은 외부에서 온 물질이므로 인체는 이를 제거하기 위해 면역체계를 활성화시키는데 이 과정에서 히스타민이 분비됩니다. 분비된 히스타민은 주변의 혈관 투과성을 증가시키고 면역세포와 혈액을 모아 염증반응을 일으키고 이러한 염증반응의 결과로 인해 피부가 붉게 변하고 간지러운 증상이 나타납니다. 보통 사람이라면 이러한 증상은 며칠에 걸쳐 사라집니다. 하지만 스키터 증후군(모기알레르기)을 가진 사람의 경우 상황이 다릅니다. 스키터 증후군을 가진 사람은 모기에 물렸을 때 알레르기 반응이 빠르고 격렬하게 일어나서 피부가 붉게 변하는 부위가 넓..

  • format_list_bulleted 복약지도
  • · 2023. 6. 13.
  • textsms
스테로이드 약물 아침에 복용하는 이유, 야간교대근무자 복용시간

스테로이드 약물 아침에 복용하는 이유, 야간교대근무자 복용시간

스테로이드의 정의, 효과 스테로이드(Glucocorticoid)는 강력한 면역억제반응을 통해 염증반응을 억제하는 약물입니다. 다방면의 염증에 사용하며 과거에는 만병통치약처럼 쓰였지만 장기간, 고용량 사용할 경우 부작용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스테로이드는 스테로이드 골격구조를 가진 화합물을 말하며 스테로이드라고 불리는 호르몬은 성호르몬, 무기질코르티코이드, 당질코르티코이드(코티솔, Cortisol) 등이 있습니다. 약물로서 사용하는 스테로이드는 대부분 당질코르티코이드와 유사한 작용을 목적으로 합성한 물질로 당질코르티코이드의 기능인 면역반응억제 효과를 나타냅니다. 스테로이드를 아침에 먹는 이유 1. 스테로이드를 자기 전 복용하면 수면장애가 생길 수 있습니다. 2. 부신피질에서 분비되는 코티솔(스테로이드..

  • format_list_bulleted 복약지도
  • · 2023. 6. 11.
  • textsms
치과 치료 전 치과의사에게 알려야 할 질병, 복용 약물, 중단 약물

치과 치료 전 치과의사에게 알려야 할 질병, 복용 약물, 중단 약물

치과치료 전 고려해야 할 만성질환, 복용약물 치과는 구강 내부만 본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치아는 몸 전체와 연결되어 있으며, 몸 상태에 따라 치과치료를 달리 해야 할 때도 있습니다. 환자가 치과의사에게 진료를 받기 전 충분한 정보를 치과의사에게 제공해야 하며, 자신이 어떤 질환을 가지고 있는지, 어떤 약을 먹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야 합니다. 저는 약사이지만 환자에게 치과진료 전 어떤 약을 먹고 있는데 치과치료를 받아도 될까요?라는 질문을 종종 받습니다. 환자가 어떤 시술을 할 것인지에 대한 정보가 없으니 정확한 내용은 치과원장님과 상담하라고 말씀드리지만 특정 약을 먹고 있다면 치과원장님에게 반드시 알려드리도록 안내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특정 질환과 특정 약물이 치과치료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주의..

  • format_list_bulleted 복약지도
  • · 2023. 6. 10.
  • textsms
  • navigate_before
  • 1
  • ···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
  • 49
  • navigate_next
전체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1927) N
    • 생활 (159)
      • 재테크 (207)
      • 차량정비 (12)
      • 티스토리 관리 (30)
      • 블로그 스팟관리 (9)
      • 여행 준비, 후기 (7)
    • 약물학 (504)
    • 복약지도 (392)
    • 공인중개사 (49)
    • 약대 면접 스터디 (38)
    • 오건영 에세이 정리 (255)
    • 내가 가본 식당 저장용 (201)
    • 팔월드, 팰월드 (32) N
    • 마비노기 모바일, 모비노기 (30) N
최근 글
Copyright © 쭈미로운 생활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by JJuum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