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타이호사가 개발한 약물 Trifluridine +Tipiracil HCl 트리플루리딘은 항종양 뉴클레오시드 유도체로 암세포 DNA에 직접 결합해 DNA의 합성과 세포증식을 억제해 암세포를 공격하고, 티피라실은 트리플루리딘의 분해 효소인 티미딘 인산화효소를 억제해 혈중 농도를 유지함. 론서프정15는 트리플루리딘이 분량 15밀리그램, 론서프정20은 트리플루리딘 분량이 20밀리그램으로 차이가 있다. 론서프는 두 성분의 이중작용을 통해 체내 활성하도록 설계됐다. 트리플루리틴은 항종양 뉴클레오시드 유도체로, DNA에 직접 결합해 DNA의 기능을 방해하며, 트리플루리딘의 분해 요소인 thymidine phosphorylase의 억제제로 작용하는 티피라실을 통해 혈중 농도가 유지된다. 개발사가 있는 일본뿐만 아..
14 대토권은 특정 토지/건물이 아니므로 중개대상물이 아니다. 특정되어지지 않은 이주자 택지를 공급받을 권리이므로 특정되어지지 않아 중개대상물이 아님 18 무자격자 1/1 무등록중개업 3/3 20 연수교육 안받으면 500만 이하 과태료 28 자격증/등록증 대여 1/1 이중소속위반 1/1 31 사칭 1/1 사무소명칭에 공인중개사무소/부동산중개라는 문자 미사용 -> 100만 이하 과태료 38 법인인 공인중개사는 겸업으로 임대관리는 가능 / 임대업은 불가능 상가, 주택 분양대행 가능 / 토지 분양은 불가능 39 거짓된 언행으로 의뢰인의 판단 그르치게 한 경우 1/1 42 3개월 초과 휴업시 휴업신고 안하면 100만 이하 과태료 44 일반중개계약서, 전속중개계약서 -> 개공, 의뢰인이 서명 또는 날인 50 중개..
메게이스는 미국 BMS사에서 1971년 자궁내막암, 유방암 치료제로 개발했는데, 임상 과정에서 식욕 개선과 체중 증가 효과가 입증되면서 암 환자의 식욕 개선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다. 현재 메게이스에프 메게스트롤ES 에피트롤ES 메게롤 등의 여러 상품명이 출시 되어 있다. 초기 메게스트롤은 식후에 복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었으나 최근 약들은 제형이 개선되어 식전/식후 관계없이 복용가능하다. 메게스트롤은 합성 프로게스틴으로 프로게스틴은 여성호르몬의 일종이며 스테로이드 환을 가져 코티솔과 유사한 효과를 나타낸다. 원래 메게스트롤은 미국 BMS사에서 1971년 자궁내막암, 유방암 치료제로 개발했는데, 임상 과정에서 식욕 개선과 체중 증가 효과가 입증되면서 암 환자의 식욕 개선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다. 메게스트롤..
피부과 L30.2 [L30.2] 피부자가민감화 칸디다진, 백선진, 유사습진 에스파손겔 desoxymethasone phospholipase A2를 차단하여 PG와 LT의 생성을 억제하고, 항원-항체 반응을 억제하며 항알레르기 작용을 나타냄 1일 1~3회 적당량을 환부에 바른다. 증상이 완화되면 감량한다. 알리톡 연질캡슐 30mg QD [Alitretinoin] 레티노산 수용체(retinoid acid receptor, RAR)와 레티노이드 X 수용체(retinoid X receptor, RXR) 둘 다에 결합함; 항염증 및 면역조절 작용은 cytokine에 의해 자극된 피부세포에서 CXCR3 (C-X-C Motif Chemokine Receptor 3) 리간드(ligands)와 CCL20 (C Chemo..
이리보 2.5ug, 5ug Ramosetron (나제아 오디랑 같은 성분, 나제아 오디는 Ramosetron이 0.1mg 즉 100ug 이다.) 설사형 과민성 대장증후군 남성 여성의 용량이 다름 남성의 설사형 과민성 대장증후군 : 성인 남성에게 라모세트론염산염으로서 5㎍을 1일 1회 경구투여한다. 증상에 따라 용량을 적절히 증감하며, 1일 최소투여량은 2.5㎍이고, 최대투여량은 10㎍이다. 여성의 설사형 과민성 대장증후군 : 성인 여성에게 라모세트론염산염으로서 2.5㎍을 1일 1회 경구투여한다. 2.5㎍으로 증상 완화가 불충분한 경우 용량을 증량 가능하다. 단, 1일 최대투여량은 5㎍이다. 현재는 남성의 설사형 과민성 대장 증후군에 사용하도록 국한되어 있으나 향후 2016년 여성에게까지 사용이 확대될 전..
Dapoxetine Hydrochloride [Dapoxetine] Dapoxetine 및 대사체(desmethyldapoxetine, didesmethyldapoxetine)는 강력한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임.; 신경단위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와 연이은 시냅스 전 및 후 수용체에서의 상승작용은 사정 경로을 억제할 수도 있음. 조루치료 강력한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임. 사정은 뇌의 세로토닌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간단히 말해 세로토닌이 사정을 억제하는데 조루 환자들은 세로토닌이 부족하여 사정을 억제하지 못하므로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를 사용해 세로토닌 농도를 높이면 사정이 지연되는 원리이다. SSRI는 우울증치료, 신경통 등에 사용되는데 2주정도 복용하면 사정지연의 부작용이..
맥페란정 메토클로프라미드 (Metoclopramide). 도파민 수용체를 차단하며 (고용량으로 주어졌을 때) 또한 중추신경계의 Chemoreceptor Trigger Zone(CTZ)에서 세로토닌 수용체를 차단함 ; 위장관 상부 조직의 아세틸콜린에 대한 반응성을 증진시켜 유동성을 증진시키고 위,담즙, 췌장의 분비물을 흥분시킴 없이 위배출을 가속화시킴 ; 하부 식도 괄약근의 긴장도를 증가시킴. (성인)ㆍ 항암화학요법 후 지연된 구역ㆍ구토 예방 ㆍ 방사선요법 유발 구역ㆍ구토 예방 ㆍ 구역ㆍ구토의 증상 치료 (1~18세 소아) ㆍ 2차 치료로써 항암화학요법 후 지연된 구역ㆍ구토 예방 비록 구토 또는 용량 거부가 있었더라도, 투여간격은 적어도 6시간 이상이 권장된다.(경구) 1. 성인 : 염산메토클로프라미드로서..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20/3/26 최소 하나의 화학요법을 포함한 이전 치료를 받은 재발성/불응성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CLL, Chronic Lymphocytic Leukemia) 환자의 2차 병용요법 치료제로 허가했다. 벤클렉스타 정은 혈액 속 림프구가 현저하게 증가하는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에서 세포자멸사(Apoptosis)를 저해하는 BCL-2 단백질의 과도한 발현을 억제한다. BCL-2 단백질에 선택적으로 결합해 그 기능을 억제하여 세포자멸사를 유도함으로써 암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하고 악화되는 것을 막는 새로운 기전의 치료제다. 현재 벤클렉스타는 경구용 B세포 림프종(BCL)-2 억제제 계열약으로는 퍼스트인클래스 약물로, 국내에서도 암이 재발하거나 앞선 1, 2차 치료에 불응한 환자들의 경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