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을 먹을 때 식전/식후의 기준

약의 복용법은 식전/식후/취침전/n시간 간격/공복 등이 있다.

 

식전은 공복에 먹어야 효과가 좋거나 식사와 관련되면 효과가 떨어지는 약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식전 30분정도가 일반적이며 음식과 상호작용이 클 경우 식전 1시간이나 식후 2시간으로 복약한다.

 

취침전은 자기전에 먹어야 효과가 좋거나 아침식전의 복약순응도가 떨어지는 경우 사용한다.

 

n시간 간격 복용은 약의 혈중농도를 유지시키는 것이 중요할 때 사용한다.

 

n일간격 복용도 있다. 메토트렉세이트나 카베르골린 같은경우 근데 흔하진 않음

 

공복복용은 식전 1시간이나 식후 2시간을 의미한다.

가장 흔히 보는 약은 스멕타가 이렇게 복용하며 공복 복용이 권장되는 항암제들도 모두 이런식으로 먹는다.

 

식후약은 30분을 지킬필요는 없다.

식후약은 식사직후로 생각해도 된다.

 

서울대병원이 그동안 약에 처방하던 식후 30규정을 식사 직후로 변경했다고 27일 밝혔다.

현재 병원에서 환자에게 처방하는 약은 식전식후취침 전 등으로 나뉜다. 식전 약은 음식물이 약의 흡수를 방해하거나 밥을 먹기 전에 먹어야 효과가 좋은 위산분비 억제제 등의 약이다.

취침 전 복용약은 약을 먹은 뒤 졸리거나, 변비약처럼 아침에 효과를 보는 것을 기대하는 약인 경우가 많다.

많은 약의 복용은 식후에 이뤄진다. 그 중에서도 일반적으로 식후 30으로 처방돼 왔다. 음식물과 함께 섭취할 때 약의 효과가 높아지거나, 위 점막 등을 보호해야 하는 필요가 있는 약이다. 당뇨약처럼 식사 직후에 먹어서 당분 흡수를 막거나, 식후 1~2시간 후에 복용해야 하는 일부 항암제 같은 예외도 있다.

서울대병원의 이번 복약 규정 변경은 식후 30식사 직후로 바뀌며, 나머지 식전, 취침전 등의 복약 규정은 그대로 유지된다.

그동안의 식후 30분 기준은 약을 먹고 속이 쓰리거나, 몸 속에서 약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라는 이유로 관행처럼 쓰여왔다. 하지만 김연수 서울대 신장내과 교수(약사위원회 위원장)는 “식후 30분이라는 기준에 대한 의학적 근거는 부족하며, 외국에서는 이런 복약 기준을 쓰지 않는다”고 말했다. 실제로 의약품 용기나 설명서에 적혀 있는 복약 요령에도 하루 3등으로만 표기돼 있는 경우가 많으며,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사항에도 ‘30이라는 기준은 없다.

환자 입장에서도 식후 30분이라는 처방은 여러 가지 약을 한 번에 복용해야 하는 경우에 시간을 맞추기 어렵고, 실수로 30분을 넘기면 불안감을 가질 수 있다는 애로사항이 있었다. 조윤숙 서울대병원 약제부장(약사)이번 변경으로 처방 절차가 간소화되고 병원 내 대기시간을 줄이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