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젖산이 축적 되었을 때 피로감을 느끼는 이유는? 심한운동을 통해 젖산이 생성되면 근육의 수소 이온농도가 높아져 근 손상이 발생하게 되고 트로포닌과 칼슘의 결합력이 감소하고, 근육에서 칼슘 누수현상이 생겨 근력이 약화되게 됩니다. 1-2. 무산소 조건에서 알코올 대사를 하지 않는 이유는? 알코올발효는 이산화탄소가 부산물로 발생하기 때문에 탄소의 소실이 일어나게 됩니다. 반면 젖산발효는 산이 농축되어 세포의 산성도가 증가하게 됩니다. 이러한 발효는 생물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게 되는데 식물같이 탄소의 공급이 쉽고 산에 대한 내성이 작은 생물은 젖산발효대신 알코올 발효를 하고 동물 같이 탄소의 공급이 어렵고 산에 대한 내성이 큰 생물은 알코올 발효 대신 젖산발효를 사용합니다. 1-3. 무산소 호..
약국에서 일하다보면 흔히 듣는 질문이 있다. 고지혈증약이 크레스토 5mg에서 리피토 10mg으로 바뀌었는데 약이 더 강해진건가요? 라는 질문이다. 이런 경우 환자는 맨뒤의 숫자만 보고 생각하는 것이다. 리피토 10mg이 크레스토 5mg보다 숫자가 2배 크니까 2배 강하다고 생각하는 것 같은 계열의 약이라도 성분이 다르면 뒤의 숫자만으로 비교하면 안된다. 고지혈증약 성분별 효과가 같은 용량은 다음과 같다. Atorvastatin (Lipitor ®): -- (see tablet strengths) Fluvastatin (Lescol ®): 20 mg Lovastatin (Mevacor ®): 10 mg Pravastatin (Pravachol ®): 10 mg Rosuvastatin (Crestor ®):..
알비스타 연질캡슐 Alverine Citrate 알베린시트르산염 60mg Simethicone 시메티콘 300mg Alverine은 심장, 혈관 또는 기관지에 대한 작용 없이, 위장관과 자궁 평화근에 진경효과를 지님. Simethicone은 기포의 표면장력을 감소시켜 위장관에서 기포를 분산시키고 방지함, 장내 가스를 제거함 효능 · 효과 위장관계 경련의 진경 및 장내 가스 제거, 복부팽만으로 인한 소화기계 통증의 경감 -> 배가 아프고 배에서 가스가 가득차있는 느낌이 들면서 방귀가 자주 나올 때 사용 용법 · 용량 1회 1캡슐, 1일 2~3회 식전에 복용한다. - 발진, 발적, 가려움증 등의 증상이 나타날 경우 전문가와 상의하세요. - 어지럽거나 졸음이 올 수 있으므로 운전, 위험한 기계조작시 주의하세요..
1가구 1주택 비과세 요건 (비조정대상지역) 1가구 1주택의 주택 보유기간이 2년 이상이고 양도일 현재 1주택을 보유한 상태이면 양도소득세를 비과세 한다. (시가 9억원까지 양도소득세 면제, 9억 초과 시 9억을 초과한 부분에 대해 비율로 양도소득세 과세) 조정대상지역의 경우에는 1가구 1주택의 주택 보유기간이 2년 이상이고 보유기간 중 거주기간이 2년 이상이어야지 양도소득세를 비과세로 한다. (한번 거주요건이 생기면 조정대상지역 해제되어도 거주요건을 채워야 한다.) 2021년 이전에는 다주택자의 경우 마지막 1주택을 남기고 모두 처분 시 마지막 1주택의 취득일부터 보유기간으로 하였으나 2021년 이후 매도 주택부터는 마지막 1주택이 된 날부터를 보유기간으로 한다. 단, 장기보유특별공제 계산 시 보유기간..
1. 원핵세포와 진핵세포의 차이점을 세포 구조적 관점에서 설명하라. 원핵세포는 핵막과 세포소기관이 존재하지 않지만 진핵세포는 핵막과 세포소기관이 존재합니다. 또한 원핵의 편모는 플라겔린 진핵의 편모는 튜불린 미세소관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2. 이성질체가 무엇인지 말하고, 분류해 보아라. 이성질체는 크게 구조이성질체와 입체이성질체로 구분 가능합니다. 구조이성질체는 다시 결합이성질체와 배위이성질체로 구분가능하고 입체이성질체는 부분입체이성질체와 광학이성질체로 나뉩니다. 광학이성질체는 모든 물성이 같고 광회전도 크기도 같고 방향만 다르지만 부분입체이성질체는 물성과 광회전도 모두 다르게 됩니다. 부분입체이성질체 아노머 에피머 기하이성질체 3. 코돈의 축퇴성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코돈의 축퇴성은 워블 효과라고도 ..
피임약은 여성을 출산으로부터 해방시켜 여성의 사회진출과 경제활동에 큰 도움을 준 약이다. 단순히 임신을 안되게 할 뿐만 아니라 생리주기를 조절하여 중요한 일이나 여행이 있을 경우 생리를 미루는 것이 가능해져 여성의 행동반경을 넓혀준 약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피임약은 다른 약과 상호작용이 많은 약이다. 실제로 일하다보면 감기약으로 처방받은 항생제와 피임약을 병용하여 원치 않은 임신이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 글에서는 피임약을 어떤 약과 먹으면 안되는지와 그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다. 약물이 경구용 피임약 효과를 떨어트리는 이유 1. 약물이 위장관계 부작용을 증가시켜 설사나 구토를 유발하는 경우 구강으로 복용한 피임약의 흡수가 감소 2. 약물이 간에서 경구 피임약의 성분인 여성호르몬 분해에 관여하는 ..
증상별 사용 약품 통증/염증 완화 - 소염진통제 시린이 - 시린이치약 (센소다인, 시린메드) 상처 - 소염진통 가글이나 항생가글 (탄툼, 헥사메딘, 아프니벤큐) 잇몸 - 옥수수불검화물(인사돌, 인사돌플러스, 덴큐정, 덴트미정, 덴타퀵정) / 카르바조크롬(이가탄, 이가탄에프, 이트린, 이튼튼, 덴트리스) 치통의 원인은 3가지 1. 법랑질이 벗겨져서 상아질이 노출되거나 잇몸이 내려가 상아질이 노출된 경우 2, 충치나 치주염에 의해 세균이 감염되어 치아 안쪽의 치수가 손상되어 치수염증이 발생한 경우 3. 잇몸에 생긴 치은염이 악화되어 잇몸뼈주변까지 염증이 퍼진 치주염이 발생한 경우 약국에서 구매 가능한 의약품, 치과용품 1. 소염진통제 나프록센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지만 위장장애가 심하다는 단점이 있다. 나프록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