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준의 CBDC 디지털 달러화 발행

www.kif.re.kr/kif3/publication/pub_detail?mid=22&nid=191&sid=188&vid=6364&cno=287310

 

KIF - 한국금융연구원

 

www.kif.re.kr

한국금융연구원을 보면 어렵고 고급진 자료들이 많다.

아직 제테크 초보라 해석이 어렵지만 나름대로 정리하며 흐름을 짚어내려 노력중

 

1. 중국은 늦어도 2022년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최 전후로 디지털 위안화의 유통을 공식화함으로 세계 최초의 암호화폐를 발행하는 중앙은행이 되려 한다. 

 

2. 국경간 거래에서 발휘될 수 있는 편의성, 효율성으로 인해 디지털 위안화의 유통이 확대되는 경우 디지털 달러화의 발행이 전제되지 않는 한 현행 미 달러화가 누리고 있는 국제결제통화나 준비자산통화로서의 위상이 약화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IMF에 따르면 2020년 12월 전세계 중앙은행 외환보유액에서 미 달러화가 차지하는 비중이 전분기말 대비 1.5% 하락한 59%로 1990년대 중반 이후 처음으로 60%를 하회했다.)

3. 디지털 위안화는 편의성이나 효율성 등에도 불구하고 중앙집중의 관리방식을 취하고 있어 금융당국이 거래 및 당사자를 언제든지 추적 가능하므로 국제결제 통화로서의 확장성에 한계가 있음

 

4. 미국 연준의 디지털 달러 발행 구상은 디지털 통화 생태계 패권을 둘러싼 중국과의 새로운 기술냉전시대 형성이 아니라 금융포용성의 확대와 국경간 결제시스템의 효율성 제고에 초점이 맞춰질 가능성이 높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