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계급 정리 입직경로, 연봉, 계급정년

 

경찰계급의 분류 

경찰공무원-계급별-인원
경찰공무원 계급별 인원 현황

경찰 조직은 크게 3가지 집단으로 나뉜다.

치안 최일선에 위치하여 우리와 가장 자주 만나는 의경 순경 경장 경사

중간 간부인 경위 경감 경정 총경

고위급 간부인 경무관 치안감 치안정감 치안총감

 

피라미드 형태 조직으로 하위계급의 인원이 많고 상위로 갈수록 줄어드는 구조이다.

각각의 집단은 특이한 마크를 달고 있으며 이 마크의 갯수가 늘어날수록 더 상급자라는 뜻이다.

 

의경 순경 경장 경사는 

하단부 태극장 위에 2개의 무궁화 잎으로 둘러싸인 무궁화 봉오리 수로 구분(1~4개). 하단부의 태극장은 만물의 근원으로서 '대한민국'과 '국민'을 상징하며, 꽃잎으로 둘러싸여 있는 무궁화 봉오리는 곧 무궁화 꽃으로 피어날 수 있는 희망과 가능성을 표현한 것으로 치안 최일선에서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켜내는 경찰의 기본 임무를 성실하게 수행함과 동시에 끊이지 않는 노력을 통해 무궁화 꽃으로 거듭날 수 있는 희망과 가능성을 겸비한 경찰을 의미한다.

 

경위 경감 경정 총경은 

중앙에 태극장을 배치한 오각장 무궁화의 수로 구분(1~4개). 중간부의 태극장은 만물의 근원으로서 '대한민국'하고 '국민'을 상징하며, 이를 감싼 무궁화는 조직 내에서 가장 중추적인 '중간급 경찰간부'를 의미하는 것으로 경찰조직의 중간 위치에서 국가를 수호하고 국민에게 봉사하는 경찰로서 가장 능동적이고 활동적인 치안 임무를 수행해 나가는 경찰조직의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해 나가는 중간급 간부 경찰을 의미한다.

 

경무관 치안감 치안정감 치안총감은 

중앙에 태극장을 배치한 무궁화 둘레에 같은 오각장 무궁화를 5각으로 연결한 태극무궁화의 둘레에 같은 무궁화 5개를 5각으로 연결한 태극무궁화의 수(1~4개)로 구분. 태극무궁화의 태극장은 만물의 근원으로서 '대한민국'과 '국민'을 상징하며, 이를 감싸고 있는 5개의 무궁화는 5각 형태로 배치되어 하나의 큰 무궁화로 승화된 것으로 경찰조직의 최상위 계급을 의미하며 태극무궁화의 오각장은 “忠(충성)·信(믿음)·仁(어짊)·義(정의)·勇(용맹)”을 상징하며, 다섯가지의 경찰이 지향하는 개치개념을 의미하며, 이를 토대로 위로는 국민과 국가를 받들고, 아래로는 경찰조직의 견인차 역할을 수행하는 고위급 간부의 리더십을 의미한다.

 

 

 

순경-경사
순경 ~ 경사

순경

일반적인 경찰 공무원 공채시험을 통해 들어간다.

9급 서기보에 해당하며, 소방관의 경우 소방사, 국군 장교 소위하고 동급이다

 

경장

노무사의 경우 경찰시험에 합격하면 경장(8급)으로 채용한다.

 

순경에서 시험을 통해 승진하려면 2~4년이 소요되며

여기에서 떨어지면 순경 임관으로부터 4년이 지난 시점에서 근속 승진한다.

8급 서기에 해당하며, 소방관의 소방교, 군대의 중위 계급에 대응한다

 

경사

세무사의 경우 경찰시험에 합격하면 경사(7급)로 채용한다.

 

사법경찰관은 스스로 기관장의 승인을 얻어 범죄인을 형사입건하고 자신의 명의로 의견서를 써서 검찰에 사건 송치를 보낼 권한을 가진다. 일반 사법경찰은 경위부터 사법경찰이고 경사 이하는 사법경찰라서 원칙적으로는 형사입건할 권한과 송치할 때 의견서를 작성할 권한이 없다. 그러나 실무상으로는 '사법경찰관 직무대리'로서 작성하고 있다.

일부 의경 소대장을 맡기도 한다.

경장에서 이 계급으로 시험으로 승진하려면 경장을 달고 최소 1년을 근무해야 승진시험 응시 기회가 주어지며, 시험 없이 경장으로 5년간 근무하면 이 계급으로 근속승진된다.

 

경사는 7급 공무원 주사보, 군대의 대위하고 동급이다. 소방관의 소방장, 봉급은 군대의 대위하고 비슷하다.

일반적으로 30대 후반에서 40대에 이 계급이 많다.

 

 

 

경위-총경
경위 ~ 총경

 

 

경위

경찰대 출신이나 경찰간부시험(경간부)을 통해 들어온다.

6급 주사에 해당하며, 소방관의 소방위, 국군의 위관급 장교에 대응한다.

사법경찰관인 경위부터 경찰 간부에 해당하며 이들은 형사입건권과 송치의견서 작성권을 보유한다.

 

 

경감

변호사 특채를 통해 입직가능하다.

6급갑을 중 갑에 해당하며, 소방관의 소방경, 군대의 소령 계급에 대응한다.

순경 공채로 입직한 경찰공무원이 경감으로 퇴직하면 공직 생활을 잘했다고 본다. 경감은 6급(갑) 상당의 계급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는 9급으로 입직한 일반직공무원이 5급 사무관으로 퇴직할 때의 인식과 유사하다.

 

 

경정

행정고시 합격자 특채를 통해 입직가능하다.

과거에는 사법고시 합격자 즉 변호사를 경정특채 하였지만 로스쿨의 도입으로 변호사 수가 급격히 증가하자 경감특채로 격을 한단계 낮추었다. 

 5급 사무관에 해당하며, 소방관의 소방령, 군대의 중령(대대장) 계급에 대응한다.

 

총경

4급 서기관에 해당하며, 소방관의 소방정, 국군의 대령(연대장) 계급에 해당된다.

 

 

경무관-치안총감
경무관 ~ 치안총감

경무관

3급 공무원(부이사관)의 예우를 받게 되며, 소방관의 경우 소방준감, 군대의 준장(여단장)하고 동급이다..

 

치안감

2급 이사관에 해당하며, 소방관의 경우 소방감, 군대의 소장(사단장)에 해당한다.

 

치안정감

1급 관리관에 해당하며, 고위공무원의 가급에 해당한다. 소방관의 소방정감에, 군대의 중장(군단장)에 대응한다.

 

치안총감

차관급의 예우를 받게 되며 소방관의 소방총감(소방청장)과 군의 대장(··공군참모총장) 계급에 해당된다.

 

 

경찰 공무원 계급별 급여

각 계급별 봉급표이다.

이는 수당 등이 제외된 표이니 실제 급여는 이보다 많다고 보면 된다. 

연봉으로 환산은 월 급여에 12를 곱하면 된다.

경찰계급별-급여
경찰 계급별 급여

 

경찰은 계급정년이 있는 직업이다.

일반적으로 공무원은 만 60세에 정년퇴직을 한다. 

이를 연령정년이라고 한다. 

 

경찰 역시 연령정년이 적용되는 공무원 조직이지만 연령정년 외에도 계급정년이란 특이한 제도가 존재한다.

계급정년이란 특정 계급에 도달한 후 다음 계급으로 몇년 이내에 진급하지 못하면 자동으로 정년이 되는 제도이다.

상명하복 조직에서 하급자가 상급자보다 나이가 많아지는 현상을 줄이기 위해 도입된 것으로 보인다.

비슷한 상명하복 조직인 군인, 경찰관, 소방관 등이 이러한 계급정년 제도가 존재한다.

 

경찰의 경우 계급정년 연수는 다음과 같다.

계  급 계급정년
경감이하 연령정년만 존재 
경  정 14년
총  경 11년
경무관 6년
치안감 4년
치안정감 없음
치안총감(경찰청장) 임기제 (2년)

만일 이 계급을 단 상태에서 강등에 해당되는 징계를 받으면 강등전 계급정년이 적용되고, 잔여기간동안 강등전 상위계급으로 진급하지 못하면 퇴직사유가 된다. 예를 들면 총경으로 승진하고 4년 뒤에 경정으로 강등되면 남은 7년 동안 경무관으로 승진하지 못하면 퇴직사유가 된다. 또한 강등을 2회 당하면 강등되기 직전의 가장 높은 계급의 계급정년이 적용되며 잔여기간동안 상위계급으로 진급하지 못하면 퇴직사유가 된다. 예를 들어 경무관으로 승진하고 3년 뒤에 총경으로 강등되고, 다시 2년 뒤에 경정으로 강등되면 남은 1년 동안 치안감으로 승진하지 못하면 퇴직사유가 된다.

 

순경~경사로 입직하는 사람들은 상관 없지만 경위 이상으로 입직하는 사람들 특히 어린나이에 경위로 들어오는 경찰대 졸업생들은 계급정년을 꼭 생각해봐야 한다.

생각없이 열심히만 일하다가 빠르게 진급하고 빠르게 퇴직하는 수가 있다. 

 

이르면 50살 전에 옷 벗을 수도

계급정년 때문에 경찰대 출신 사이에서는 ‘조기 출세는 독(毒)’이란 얘기가 나온다. 계급정년을 적용 받지 않는 초임 간부 때 일찍 승진했다가 경정이나 총경에서 승진이 안 되면 최악의 경우 50세도 되기 전에 조직에서 나와야 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경찰대 1기 출신으로, 수석 졸업에다 승진에서도 동기 가운데 가장 앞섰던 윤재옥 새누리당 의원은 30살에 경정을, 37살에 총경을 달았다. 만약 경정, 총경 때 승진이 안 됐더라면 계급정년에 걸려 44살, 48살에 옷을 벗어야 할 수도 있었던 것이다. 역시 경찰대 출신으로, 행정고시까지 합격하면서 유독 승진이 빨랐던 박종준 대통령경호실 차장은 불과 35살 때 총경을 달았다. 계급정년에 걸렸다면 46살 때 경찰에서 나올 수도 있었다는 계산이 나온다.

결국 계급정년에 묶여 쫓겨나지 않기 위해선 승진을 해야 한다. 하지만 승진 후에는 기한(期限)이 더 짧아지는 또 다른 계급정년이 시작된다. 더구나 경찰은 위로 올라가면 올라갈수록 자리가 줄어드는 첨탑형 구조가 다른 정부 기관과 비교할 때 훨씬 더 심각하다.

 

이 때문에 요즘 경찰대 출신 사이에서는 계급정년을 적용받지 않는 경감에 최대한 오래 머물고, 비교적 계급정년 기한에 여유가 있는 경정·총경 때는 어느 정도 연차를 채운 뒤 승진하는 게 좋다는 얘기가 나온다. 경찰대 졸업생의 지위를 ‘경위’에서 그보다 한단계 낮은 ‘경사’로 낮춰야 한다는 주장이 이제는 경찰대 출신들한테서 나오는 상황이다. 경찰대 출신의 한 관계자는 “최대한 천천히 승진을 하는 게 좋겠다고 생각을 하면서도 막상 동기들이 먼저 승진하게 되면 조바심이 나기 마련”이라고 말했다. 승진을 놓고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이라는 것이다.

 

 

퇴임 후 갈 자리도 마땅찮아

경찰대 출신을 비롯한 경찰 고위직 간부들이 조기 승진보다 정년을 채우는 것을 선호하는 또 다른 이유는 어지간해선 퇴임 후 마땅히 갈 자리가 없기 때문이기도 하다. 현재 경찰 산하 기관이나 단체로는 경찰공제회, 도로교통공단, 총포화약안전기술협회 정도가 꼽힌다. 공제회나 도로교통공단은 치안정감급 인사가, 총포협회는 치안정감 혹은 치안감급 인사가 수장(首長)으로 가는 것이 관례다. 현 이성규 경찰공제회장은 서울지방경찰청장(치안정감) 출신이고, 주상용 도로교통공단 이사장 역시 서울청장을 지냈다.

그 외 경찰 고위직이 관례적으로 가는 자리로는 경찰위원회 상임위원, 안전행정부 산하 소청심사위원회 상임위원 정도가 있다. 현재 차관급인 경찰위 상임위원은 서울청장, 경찰대학장을 지낸 한진희씨가, 소청위 상임위원은 얼마 전까지 경찰중앙학교장(치안감)이었던 조길형씨가 맡고 있다. 이중 치안감급이 갔던 소청위 상임위원은 업무 부담이 상당한 까닭에 경찰 출신 전임자들이 대부분 중도 하차하면서 조만간 경찰 출신이 배제될 것이란 얘기도 나온다.

용산사태를 지휘했던 김석기 전 서울청장이 최근 부임하면서 논란이 되고 있는 한국공항공사 사장도 경찰 고위직이 종종 기용되는 자리다. 7대와 8대 사장을 서울청장 출신인 윤응섭, 이근표씨가 맡았고 9대 때 내부 승진 인사가 한차례 사장을 지낸 뒤 경찰 출신이 또 다시 맡게 된 것이다. 하지만 경찰 관계자는 “한국공항공사 사장은 개인 인맥으로 뚫은 곳이지, 경찰 출신이 관례적으로 가는 자리로 보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이처럼 10만2000명에 달하는 경찰 조직 규모를 감안하면 퇴임 후 경찰 고위직이 관례적으로 가는 자리가 상당히 적다고 경찰은 느끼고 있다. 그나마도 대부분 치안정감급 이상 최고위직을 지낸 인사들만 넘볼 수 있는 실정이다. 경찰청 국장, 지방경찰청장에 해당하는 치안감을 지내더라도 퇴임 후 갈 만한 자리가 마땅치 않아 전전긍긍하는 형편이다. 경찰 일각에선 “차라리 수사 경력 등을 살려 보험사 같은 곳에 취직하는 하위직 직원들이 사정이 더 낫다”는 얘기도 나온다.

한 경찰 간부는 “기업처럼 임원이 되면 월급이 껑충 뛰는 것도 아니고 치안감 같은 경우 계급정년이 4년이라고는 하지만 심한 경우 치안감을 달고 8개월만에 치안정감으로 승진했다가 1년쯤 뒤에 옷을 벗은 경우도 있다”며 “고위직도 근무 연수를 채울 수 있는 방안이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소방관 계급과 계급정년은 다음을 참조하세요 

 

소방관 계급 정리 입직경로, 연봉, 계급정년

모든 인원이 국가 소속인 경찰공무원과는 다르게 소방공무원은 국가직 / 지방직으로 나뉘어 있었으나 2020년 4월 1일부터 모든 소방공무원은 국가직 소속이 되었고 이에 따라 소방공무원의 직급

pharmit3000.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