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FOMC는 없고 9월 21일 FOMC 까지는 너무 멀다.

개인적인 정리글입니다. 

8월에는 FOMC일정이 없고 9월 FOMC는 9월 21일 예정입니다.

 

지난 8월 10일 발표된 미국 CPI 지수는 전년 동기대비 8.5% 상승하며 시장 추정치 8.7%보다 낮게 나왔습니다.

생산자물가지수 PPI 역시 전월 대비 0.5% 하락했으며 미국 증시와 비트코인이 소폭 반등하였습니다.

 

인플레이션은 정점을 찍었으며 FED에서 다시 금리완화를 해주지 않을까? 라는 기대가 선반영되어 증시와 코인 모두 반등했다고 생각되네요 

 

 

최근의 급락은 지속적인 인플레이션을 쳐내기 위해 9월에 0.75포인트 금리 상승이 선반영되어 발생한 하락이었는데요 

 

 

7월 13일까지만해도 1%를 올리네 0.75%를 올리네 하던 금리가 현재는 0.5%를 올리는게 가장 유력해져있지요 

 

 

이에 따라 7월 13일부터 오늘 8월 12일까지 주가는 12.2%정도 상승이 이어져왔습니다.

 

주가지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게 항상 금리는 아니지만 현재는 금리가 주가지수에 가장 영향을 많이 주는 요인중 하나로 보이구요 앞으로 주가 역시 FOMC에서 0.5%보다 더 올린다고 하면 주가가 다소 하락할 것이고 0.5%를 올린다고 하면 이미 선반영되어 보합이 되지 않을까 싶네요 

 

슬슬 시장이 금리인상의 둔화와 내년 금리인하까지 예상하고 있는데요

큰 이벤트가 없으면 이제부터 분할매수를 하거나 여전히 쿠폰 금리가 좋은 ELS에 참여하는게 좋아보입니다.

 

ELS는 시장변동성이 줄어들면서 쿠폰 금리가 줄어들고있는데요 이제 9~10%대 쿠폰금리도 얼마남지 않은 것 같습니다.

 

 

장단기 금리차가 한번 역전된 뒤로 대규모 경제위기가 올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매주 분할로 ELS를 소량만 들어가는 중입니다.

 

큰 경제위기는 짧고 깊게 오는경향이 있기 때문에 들어가는 시기를 분할하는 것은 필수적이라고 생각합니다.

 

러시아에 이어서 중국의 지수가 박살날 가능성이 높아서 되도록이면 항생을 피하고 S&P, 유로스톡스, 니케이, 코스피 위주로 담으려고 노력중입니다. 

 

키움에서 좋은 ELS상품들이 지속적으로 나와서 최근 ELS는 키움에서만 참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