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더나 설하정 성분
녹더나 설하정의 주성분은 데스모프레신(Desmopressin)입니다.
데스모프레신은 신장의 집합관에 위치한 바소프레신 수용체2에 결합하는 성분입니다.
신장 집합관의 바소프레신 수용체2는 바소프레신과 결합하여 집합관의 수분 재흡수를 촉진합니다.
데스모프레신이 바소프레신 수용체2와 결합하면 바소프레신 수용체2가 활성화되어 수분 재흡수를 촉진합니다.
이러한 수분 재흡수는 아쿠아포린이라는 채널에 의해 발생합니다.
바소프레신 수용체2가 활성화되면 신장 집합관 세포내 소낭에 존재하는 아쿠아포린(AQP2)이 집합관 세포 표면으로 이동하여 활성화됩니다.
아쿠아포린은 집합관에서 수분을 재흡수하는 채널입니다.
바소프레신 수용체2의 활성이 사라지면 아쿠아포린은 다시 소낭으로 들어가 세포 내부로 이동합니다.
데스모프레신을 사용하면 집합관의 수분 재흡수가 증가하여 원뇨의 양이 줄어들게 됩니다.
이를 이용하여 요붕증, 야간뇨 치료에 데스모프레신을 사용합니다.
데스모프레신은 생체 내 바소프레신보다 작용시간이 길고 항이뇨 효과가 더 강력하지만 심혈관계 수축 효과는 없습니다.
데스모프레신 성분은 정제, 설하정 제형으로 경구투여할 수 있으며 비강 분무 스프레이도 존재합니다.
녹더나 설하정 효과
녹더나 설하정의 적응증은 성인에서 특발성 야간 다뇨로 인한 야간뇨 증상의 치료입니다.
녹더나 설하정 복용법
녹더나 설하정은 1일 1회 자기전 혀밑에 녹여 복용합니다.
야간뇨를 억제하기 위해 복용하는 약물이므로 물 없이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남성은 1일 1회 50ug을 복용하며 여성은 1일 1회 25ug을 복용합니다.
65세 이상 고령 환자는 데스모프레신 증량이 권장되지 않습니다.
(65세 이상 고령자는 녹더나 설하정 증량 시 저나트륨혈증, 수분 중독 위험)
65세 미만 환자에게 용량 증량이 필요할 경우 다른 데스모프레신 경구 제제를 사용하여 증량할 수 있습니다.
녹더나 설하정 부작용, 주의사항
1. 심부전 환자 금기
녹더나 설하정은 심부전으로 진단되었거나 심부전 의심 환자에게 사용 금기입니다.
2. 저나트륨혈증 환자 금기
녹더나 설하정을 복용하면 수분 재흡수로 인해 저나트륨혈증 발생 위험이 높습니다.
저나트륨혈증 환자는 녹더나 설하정을 복용하지 않습니다.
50ug 용량의 녹더나 설하정을 투여할 경우 남성보다 여성에게 저나트륨혈증 발생 위험이 높았습니다.
여성 환자는 25ug 용량 사용이 권장됩니다.
또한 저나트륨혈증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수분 섭취를 제한해야 합니다.
3. 65세 이상 환자 주의
65세 이상 고령 환자는 데스모프레신 사용 시 저나트륨혈증 부작용 발생률이 더 높게 나타났습니다.
고령 환자의 야뇨증에는 Oxybutynin, Tolterodine, Propiverine, Fesoterodine 등의 항콜린 약물이나 삼환계 항우울제인 Imipramine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항콜린 약물, 삼환계 항우울제는 항콜린 부작용이 있어 졸음, 변비, 배뇨장애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녹더나 설하정 가격
녹더나 설하정은 전문의약품으로 의사의 처방이 있어야 구입할 수 있습니다.
제품명 | 제약회사 | 가격 |
녹더나 설하정 25μg | 한국페링제약 | 410원/1정 |
녹더나 설하정 50μg | 한국페링제약 | 615원/1정 |
녹더나 설하정 50ug을 1일 1회 30일간 복용할 경우 환자 본인부담금은 9,700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