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대 면접 스터디 공부내용 24

충북 3회 나구

1. 자기소개서 기반 질문

 

2. 연구 약사 하고 싶다고 썼는데 왜 임상약사나 개국할 수도 있는데 힘들게 대학원도 가고 연구하려고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3. 세포의 생사 구분법을 말해보라.

염색을 통해 구분가능합니다.

살아있는 세포는 트리판블루로 염색되지 않고 죽은 것은 푸르게 염색되며

니그로신 또한 살아있는 세포는 염색되지 않고 죽은 것은 검게 염색됩니다.

 

4. 약에 대한 항체가 체내에서 안 생기는 이유는 무엇인가? ???2222

약은 대부분 화학물질입니다.

항체는 유기물에 대항하는 물질이지 무기물에 대항하지 않습니다.

 

5. 상온에서 위 세물질이 섞여 있을 때, 각각을 분리해 내는 방법은?

분별증류

 

특별

 

1. 집에는 어떻게 가는가?

 

 

2. 여기까지 어떻게 왔는가?

 

 

3.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을 해보라.

 

4. 세포를 구획하는 세포막의 화학, 물리적 성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세포막은 양쪽성성질을 가지는 인지질 이중층으로 구성되어 물리적으로 외부와 내부의 물질이 섞이지 않도록 합니다.

 

5. 알파아미노산을 세포막에 고정시키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소수성기를 가지도록하여 세포막가운데에 넣습니다.

 

6. 피리딘이 벤젠보다 친전자성 방향족 치환 반응의 반응성이 더 낮은 이유를 설명하시오.

고리의 전자밀도가 낮다.

 

7. 나이트로 벤젠을 그려 보아라

 

8. 나이트로 벤젠은 전자가 비편재화 되는데 피리딘은 왜 그렇지 않은가?

피리딘의 질소에 존재하는 비공유전자쌍이 공명할 경우 sp 혼성이 되어버리고 180도의 각을 가져야 하는데

이럴 경우 고리가 붕괴되므로 공명이 되지 못해 전자가 비편재화 되지 못함

 

9. 대표적인 EAS반응의 예는?

F-C 알킬화

 

10. 수심이 깊은 곳에 있다가 수심이 낮은 곳을 급격히 올라오면 흉통, 복통 등에 시달리는 잠수병 증상이 나타나는

이유에 대해 설명하여라.

헨리의 법칙 때문입니다. 수심이 깊은 곳에서는 압력이 높아 질소기체의 용해도가 높지만

수심이 낮은 곳으로 빠르게 올라올 경우 질소기체의 용해도가 급격히 낮아져서 기포가 발생하게 되어 잠수병이 일어납니다.

이를 예방하기위해 공기통에 질소대신 헬륨기체를 넣어줍니다.

헬륨은 반응성이 작고 용해도또한 작기 때문에 질소를 대체하기에 적합합니다.

 

 

가천 1회 가군

 

1. warburg 효과가 왜 나타나는가?

암세포는 접촉저지현상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과도하게 세포가 증식하게 되고 혈관생성이 이를 따라오지 못하게 됩니다. 때문에 산소 공급이 원활해지지 못하고 warburg현상에 따라 해당과 발효를 통해 에너지를 공급합니다.

 

암세포가 활발한 분열을 하기 때문에 단백질 합성이 촉진되고 TCA의 옥살로아세트산을 단백질 생성에 사용하여

해당과정을 통해 에너지를 얻는다.

 

2. 암세포에서 만들어 내는 물질은 무엇이 있으며 검출방법은 어떤 것이 있는가?

암세포에서는 혈관생성인자를 만들어내며 이와 결합하는 항체를 이용하여 검출해 낼 수 있습니다.

 

3. warburg를 어떻게 임상에 적용할 수 있겠는가?

암세포는 많은양의 포도당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혈관생성억제인자를 투여해서 포도당 공급을 차단해주면

산소 없이 해당이 가능하다고 해도 포도당이 없으므로 암세포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리라 봅니다.

또한 암세포에서 포도당소비량이 많기 때문에 포도당 스캔을 통해 암세포의 위치를 파악

 

주조직적합성복합체 MHC

 

4. 세포증식 억제방법에는 무엇이 있는가?

접촉저지현상이 있습니다. 세포는 일정 공간에서 일정한 밀도 이상으로 증식하지 않도록 신호를 보냅니다.

 

5. 단백질 생산을 줄이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는가?

mRNA양을 줄이거나 mRNA의 분해를 촉진하거나 단백질을 유비퀴틴화 시켜 프로테아좀에서 분해시키면

단백질 생산량이 줄어들게 됩니다.

리보솜 억제약물 사용

 

6. 장기이식에 비해 이종장기이식 중 어떤 것이 면역질환이 덜 일어나는가?

동종장기이식이 면역이 덜 일어납니다.

장기이식시 면역반응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MHC(주조직적합성복합체)를 일치시켜야 합니다.

동종의 MHC보다 이종의 MHC가 불일치할 확률이 높기 때문에 이종의 장기가 더 면역반응이 잘 일어나게 됩니다.

이유 - 유전자가 다르기 때문

 

7. T cell, B cell 항원 인식 과정 차이(antigen 인식 방법의 차이)에 대해 설명하시오.

B cell은 항원의 3차원적 구조 그 자체를 인식하지만 T cell은 전문항원 제시세포(B세포 수지상세포 대식세포)로부터

가공된 항원의 1차원적 구조를 인식합니다.

 

8. 1형 당뇨병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베타세포를 증가시켜 해결할 수 있는 기전에 대해 설명하라.

1형 당뇨병은 인슐린 분비자체가 부족한 것입니다. 때문에 베타세포를 증가시켜 인슐린 분비를 증가시키면

당뇨병이 해결될 수 있습니다.

 

가천 2

1. 미래 개인의 유전자 치료가 가능해질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문제 2가지를 예를 들어 말하고, 그에 대한 대책을 말해 보시오.

유전자 치료가 가능해지면 이상적인 유전자 세트가 정해지게 될 것이고

형질의 다양성이 감소하게 될 것입니다. 이는 환경변화에 적응이 힘들어짐

또한 부작용발생시 되돌리기 어렵다는 단점 ???

 

2. 입학한 뒤 본인보다 나이가 어린 학생이 선배가 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연장자와 선배는 모두 존중받아야 합니다.

하지만 어린 학생이 선배가 되는 입장이라면 상호 존대하며 상대를 존중할 것입니다.

 

3. 피트 외에 다른 시험을 준비한 경험은 없었나?

 

4. 전남대 지원 동기는?

거리 지리적 위치

 

5. 전남대학교 약대를 졸업한 뒤에 어떻게 학교에 기여하겠는가?

 

6. 본인이 신약을 개발하는 약과학자라고 할 때, 어떤 약을 개발하고 싶은가?

 

 

8. 세포치료제의 정의에 대해 설명해 보시오. 체세포 치료와 줄기세포 치료에 대해 각각 예를 들어 설명해 보시오.

세포치료제란 세포와 조직의 기능을 복원하기 위해 세포를 체외에서 증식, 선별하거나 여타 방법으로 세포의

생물학적 특성을 변화시키는 등 일련의 행위를 통하여 치료, 진단, 예방목적으로 사용되는 의약품

 

체세포치료제는 바이러스 등을 유전자 운반체로 이용하여 환자의 체세포에 삽입하여 질병을 치료

줄기세포 치료는 더 이상 분화할 수 없는 세포가 손상 받은 경우 시행하는 치료입니다.

 

9. 뇌 분야에서 어떻게 줄기세포 치료제를 이용할 수 있을까?

뇌세포는 더 이상 분열하지 않기 때문에 손상 받을 경우 복구가 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줄기세포를 이용하면 손상 받은 뇌세포를 대체하여 줄 수 있고 치료가 가능 할 것입니다.

 

10. 뇌나 관절에 퇴행성 질환이 일어나는 것을 세포치료제로 치료할 수 있겠는가?

줄기세포 치료제로 치료가능 손상된 세포를 대체하면 됩니다.

 

11. 체세포 치료제와 줄기세포 치료제의 한계점에는 뭐가 있을까?

체세포치료제는 형질도입시 유전자가 잘못 삽입되면 세포의 교란이 생길 가능성이 있음

줄기세포 치료제는 줄기세포를 획득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가천3

1. 배아 줄기세포의 윤리적 문제와 해결 방안은 무엇이 있겠는가?

배아 줄기세포의 윤리적 문제는 해결될 수 없습니다. 배아를 하나의 인간으로 보는한 윤리문제에서 자유롭지

못합니다. 대체하는 방법으로 성체줄기세포를 사용 할 수 있습니다.

 

2. 지원 동기는 무엇인가?

 

3. 장학금의 소득 별 분배와 성적순으로 분배에 대해 어떤 것이 더 나은가?

소득별 분배가 낫다고 봅니다.

차상위와 기초생활수급자중 일정성적 이상의 학생들에게 분배하되 남은 장학금을 성적순으로 분배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4. 약학이란 무엇이라 생각하는가?

의약품의 개발 및 관리감독, 올바른 사용을 지도 할 수 있는 학문이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