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석 2회 가군
1. 엔트로피에 대해서 아는가? 이에 대해 설명해 보라.
엔트로피는 무질서도한 정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이와 관련된 법칙으로 열역학 제2법칙이 있는데 자연현상은 언제나 엔트로피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일어난다는
것입니다.
2. 얼음이 녹을 때 엔트로피가 증가 하는가 감소하는가? 왜 그런가?
얼음보다 물이 되면 엔트로피는 증가하게 됩니다.
이는 물 분자가 얼음일 때는 고정되어 움직이지 못하는 반면 물이 되면 얼음보다 자유롭게 움직이며
물 분자가 취할 수 있는 경우의 수가 많아져 무질서도가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3. 엔트로피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가?
일정한 계에서는 엔트로피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반응이 일어나는 것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이는 계 외부의 엔트로피가 증가하는 것을 이용한 반응이며 우주의 전체 엔트로피는 증가하게 됩니다.
4. 비자발적인 반응에서도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자발적으로 일어나는 반응이 있는데 왜 그러한가?
엔트로피가 증가하는 경우가 그렇습니다.
반응의 자발성판단은 자유에너지 △G0 의 값으로 따지는데 이 공식에 따라
△G0 = △H0 - T△S0 엔트로피가 증가하는 반응의 경우 온도가 증가할 경우 △G0값이 감소하여 반응의 자발성이
커지게 됩니다.
5. 깁스 자유에너지에 대해 설명해 보라.
깁스자유에너지는 엔탈피 온도 엔트로피로 정의된 열역학적 함수로써
깁스자유에너지 변화량을 알면 반응의 자발성, 비자발성을 판단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6. 핵산을 가지고 있지 않은 비핵산 감염체에 무엇이 있는가?
프리온 단백질이 있습니다.
프리온 단백질은 광우병, 크로이츠펠트-야곱병의 원인이며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러한 프리온 단백질은 다른 단백질 또한 잘못 접히도록 유도하여 자신을 늘려나갑니다.
7. BSE, KURU, CJd에 대하여 숙주, 감염원을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BSE는 숙주는 소 감염원은 프리온
CJD는 숙주는 사람 감염원 프리온
KURU또한 숙주는 사람 감염원 프리온
정상프리온은 알파나선구조 비정상 프리온은 베타 병풍구조
스크래피 - 양의 크로이츠펠트야콥병
8. iCJD, vCJD의 차이에 대해 아는가?
iCJD는 이식을 통해 프리온이 들어와 발병하는 퇴행성 뇌질환이며
vCJD는 외부에서 유입된 프리온에 의해 발병되는 퇴행성 뇌질환
fCJD 가족성 유전성
sCJD 자연적으로 프리온이 생성되는 경우 전체발병의 80%
9. (Western blotting 사진 제시)정상인과 cjd에 걸린 사람에게 proteinase K를 처리했더니 정상인은 띠가 사라지고
비정상인은 그대로 남아있다. 이유는 무엇인가?
프리온 단백질이 proteinase K에 저항성을 가져 분해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우석 2회 나군
1. 물 분자 구조 제시, 각각의 결합(공유결합, 수소결합) 단순 이름대기.
2. 물이 수소 결합해서 생기는 이점 2가지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
수소결합을 통해 물에 많은 양의 열을 담을 수 있기 때문에 비열이 큽니다.
이러한 큰 비열 때문에 생체의 온도 완충제 역할을 하게 되고
물이 얼 때 수소결합에 의해서 6각 결정구조를 형성하기 때문에 얼음의 밀도가 액체보다 작게 되고
겨울철에 호수의 수면부터 얼게 됩니다. 때문에 겨울에 수면 아래에 사는 생물은 얼어 죽지 않습니다.
3. 인간의 항상성을 설명하고 예 한가지 설명해 보시오.
항상성은 외부의 자극에 대해서 체내를 일정하게 유지하려는 것입니다.
하나 예를 들어보자면 체온을 들 수 있는데
주변 온도가 내려가서 신체의 열을 잃는 상황이 오면 피부혈류량을 감소시켜 손실되는 열을 감소시키고
티록신, 에피네프린 등 대사촉진 호르몬을 분비하여 열을 생성하며 골격근을 떨게 하여 열을 발생시킵니다.
또한 입모근을 수축시켜 털을 세웁니다.
4. 체온 조절 기작, 혈당량이 낮을 때 간과 지방조직에서 일어나는 일에 대해 설명해 보라.
혈당량이 낮을 경우 간에서 글리코겐이 분해되어 포도당을 생성하여 혈액의 혈당을 높입니다.
또한 지방조직에서 혈액으로 지방산을 내보내어 사용가능한 지방산의 양을 증가시킵니다.
체온조절은 우선 피부와 몸통온도를 시상하부에서 감지하게 되고 이 온도와 set point를 비교하여 온도를 조절합니다.
체온을 높이기 위해서는 대사촉진호르몬 분비 골격근 떨림 촉진 피부혈류량 감소가 있으며
체온을 낮추기 위해서는 땀 분비, 피부 혈류량 증가를 통해 열을 발산합니다.
5. 아스피린의 반응과 관련된 문제
페놀과 강염기 이산화탄소를 이용해 살리실산을 만들고 살리실산과 아세트산무수물, 황산촉매를 첨가해서
아세틸살리실산을 제조합니다. 유리막대로 저어주며 가열 후에 냉각시켜 여과하면 아세틸살리실산을 얻을 수
있습니다.
6. 철2가 양이온, 철3가 양이온과 관련된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