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광대 1회
2. 온도가 높아질수록 화학반응은 잘 일어난다. 왜 그런지 분자적 수준에서 설명하시오.
화학반응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유효한 충돌이 일어나야 합니다.
그런데 온도가 높아지면 분자의 운동이 활발해지고 이러한 유효충돌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화학반응이
잘 일어납니다.
3. 물의 온도가 높아지면 산성도는 어찌 되는가? 그 이유는?
물의 자동이온화 결과 나오는 것은 수소이온과 수산화이온이며 흡열반응입니다.
물의 온도가 높아지면 수소이온과 수산화이온 모두 농도가 증가하지만 이것의 비가 1:1이기 때문에 중성입니다.
4. 호열성 미생물들이 고온에서도 자신들의 3차 단백질 구조를 유지할 수 있는 이유를 분자결합을 들어 설명하시오.
호열성 미생물들은 1층의 테트라 에터층을 가짐으로 막유동성이 이중층에 비해 적다.
5. 지방은 당에 비해 그램당 함유된 에너지량이 높다. 그 이유를 분자구조를 들어 설명하시오.
2222
지방은 당보다 더 환원되어 있으므로 산화가 더 많이 일어날 수 있고 NAD+ FAD를 더 많이 환원시켜
전자전달계에 많은 에너지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원광 1회 나군
1. 나보다 못한 사람과는 벗하지 말라는 말이 있다. 나보다 못한 사람은 어떤 사람인지 말하고 앞으로 약학대학에
입할 후 학교생활을 어떻게 할 것인지 말하시오.
나보다 못한 사람은 없습니다. 사람을 사귐에 있어 이해타산이 아닌 마음으로 사귀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2. 산소가 세포에 어ᄄᅠᇂ게 들어가는지 설명하고 산소가 세포에서 에너지 생산과정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말하시오
산소는 호흡을 통해 폐로들어와서 혈액의 적혈구를 통해 각 조직으로 운반됩니다.
각 조직에서는 이산화탄소가 적혈구에 결합하며 산소해리도가 낮아져서 산소가 해리되게 되며
이러한 산소는 단순확산을 통해 세포내부로 들어오게 됩니다.
산소는 세포내에서 전자전달계 전자 최종 수용체로써 전자전달계가 멈추지 않도록 합니다.
3. 오존이 인간생활에 주는 영향 5가지를 말하고 그 기작을 설명하시오.
우선 오존은 성층권에 오존층을 형성하여 태양으로부터 오는 유해한 자외선을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오존은 강한 산화력을 가짐으로 상수도 소독에 이용됩니다.
지표에서 오존이 생성되는 경우 눈, 코, 호흡기계통의 점막이 자극되며
고무와 직물 섬유의 파손이 일어나고
식물에게는 강한 산화작용으로 엽록소를 파괴하고 동화작용 억제 식물의 잎사귀 조직 파괴를 일으킵니다.
성층권에서는 산소가 자외선을 받아 산소원자로 쪼개지며 이렇게 쪼개진 산소원자는 반응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 다른
산소 분자와 반응하여 오존을 형성합니다. 오존은 다시 자외선을 받아 산소분자와 산소원자로 쪼개지며 산소 원자는
다시 산소분자와 반응하거나 오존을 분해시켜 오존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합니다. 이러한 오존의 생성과 분해가 태양의
자외선을 흡수하는 역할을 합니다.
오존을 이용한 소독과 지표면에서의 악영향은 오존의 강한 산화력 때문에 그렇습니다.
4. 활성산소 대표적인 것 두 가지를 말하고 활성산소가 우리 몸에서 하는 장단점을 말하시오.
전자전달계에서 최종 전자수용체인 산소가 전자를 받을 때 부산물로 생기는 산소라디칼
퍼옥시좀에서 지방산 베타산화 이후 생성된 FADH2를 FAD로 전환하기 위해 옥시다아제에 의해 생성되는 과산화수소
이들은 모두 강한 산화력을 가지며 일부 면역반응에 관여하지만 세포노화, DNA손상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원광대 2회 가군
1. 한미 FTA체결 시 자동차, 섬유분야에서는 이익이 따른다. 한미 FTA가 농업분야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저가 외산농수산물이 들어오며 국내 농수산물은 가격경쟁력을 잃게 될 것이고 기존과 같이 생산만 해서는 안되고
특화된 상품을 개발하게 될 것입니다. 현재도 그렇지만 유기농, 주말농장등 다양한 상업형태를 개발하여 경쟁력을
확보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전체적인 농업종사자가 줄어 들것입니다.
2. 자신이 만약 농업종사자라면 한미 FTA 체결에 찬성하겠는가, 반대하겠는가?
농업종사자라면 한미 FTA체결에 당연히 반대할 것입니다. 제 자신의 이익에 반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국제정세의 흐름상 FTA는 막을 수 없고 때문에 농업종사자라면 농업을 그만두겠습니다.
3. 중추신경 전달물질에 대해 말하고 그 예를 들어보아라
신경 전달물질은 시냅스 전 뉴런의 축삭말단에서 분비된 후 시냅스 후 뉴런의 수상돌기의 수용체에 붙어 다음 뉴런으로
신호를 전달하는 물질입니다.
중추신경계에서 작용하는 전달물질을 중추신경전달물질이라고 하며 도파민, 세로토닌 등이 있습니다
4.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으로부터 오는 질병의 예를 드시오
파킨슨씨병이 있습니다. 파킨슨병은 중뇌의 신경세포가 사멸하여 도파민의 분비가 부족해지는 것이며
치료법으로는 도파민 전구물질을 투여하거나 도파민 재흡수를 방지하는 물질을 약으로 사용합니다.
5. 파킨슨 병과 알츠하이머의 경우 어떤 신경전달물질에 문제가 생긴것인가?
파킨슨병은 중뇌의 도파민분비에 문제가 생긴 것이며,
알츠하이머의 경우는 뇌에 베타아밀로이드가 침적되어 뇌세포의 손상을 야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6. 신경에서 신경전달물질 전달과정을 자세히 설명해 보시오.
시냅스 전 뉴런 축삭말단에서 전압의존성 칼슘채널이 열리게 되면 칼슘이 유입되고 칼모듈린-Ca이 형성되어 칼모듈린
의존성 키나아제가 활성화된 다음 소낭의 SNARE가 인산화 되어 세포막에 신경전달물질이 들어 있는 소낭이 융합하여
신경전달물질이 방출되고 시냅스 후 뉴런의 수상돌기에서 이러한 신경전달 물질을 인식하고 신호를 전달합니다.
(탈분극 or 과분극)
7. 식물은 자기 몸이 위험할 때 어떤 물질 A를 생성하여 자신의 몸을 보호한다. 또 자기 주위의 다른 식물들이 위험할
때 물질 B를 생성한다. A는 어떤 물질이 예가 될 수 있고 b는 어떤물질이 예가 될 수 있을까?
A는 탄닌 B는 자스몬산
자스몬산(Jasmonic acid)은 막지질에 존재하는 리놀렌산으로부터 유래하는 식물 신호전달분자로 곤충, 균류 병원체에 대한 식물 방어를 활성화시키며 꽃밥과 꽃가루의 발달을 포함하는 식물생장을 조절한다. 단백질 분해효소 저해제와 같은 여러 생물적, 비생물적 스트레스에 따른 유전자의 발현을 활성화한다.
8. B는 어떠한 물리적인 성질 때문에 그런 역할을 할 수 있을까?
휘발성이 커서 주변에 있는 다른 식물에게 신호전달이 가능
9. (특정 항암제에 대한 작용기작에 대한 제시문) 제시된 항암제는 어떤 작용을 통해 항암효과를 나타내는가?
원광 나군 2회
1. 우리나라가 OECD국가들 중 해외로의 입양율이 높은데 그 근본적 원인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대책에 대해서도 말해보라.
근본적인 원인은 유교적인 사상이라고 생각합니다. 비단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일본, 중국으로 이어지는 유교
사상은 조상 및 부모자식간의 혈연관계를 중요하게 여깁니다. 이러한 유교적 사상이 국내입양을 저조하게 만드는
원인이 되었고 비교적 이런 인식이 적은 해외는 입양에 대한 거부감이 적어 이런 현상이 일어났다고 생각합니다.
대책은 없습니다. 이러한 심리적 거부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물질적인 보상을 해주어야 하는데 이러한 제도는
역효과를 낳기 쉽다고 생각합니다. ex) 악용..
2. 표를 보고 구제역 바이러스를 잡는데 Cao를 쓰는 이유 2가지를 말해 보시오.
염기성환경을 조성하여 RNA에 손상을 일으키기 위해 생석회는 물과 반응하여 고열을 내기 때문에 소독에 용이
3. 구제역 바이러스 치료에 있어 CaO와 CaCO3 두 방식의 차이점을 설명해 보시오.
둘다 알칼리성 CaO는 강한 발열반응
CaCO3는 발열 x
4. 어떤 작용에 의해 구제역 바이러스가 치료되는지 생화학적 기전을 말해보시오.
염기성환경에 의해 RNA손상 50도 이상의 열을 가해 바이러스 사멸
5. 구제역 바이러스는 ssRNA를 가진다. 그렇다면 HIV는 어떤 종류의 바이러스인가? 이 바이러스의 특징은
무엇인가?
HIV는 ssRNA바이러스
HIV는 레트로 바이러스로써 단일가닥 RNA를 주형으로 DNA를 합성하고 다시 DNA이중가닥이 되어 숙주의
DNA에 침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