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대 3회 나군
2. peet 공부를 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과목은 무엇인가?
분류학이었습니다.
3. 하고 싶은 말이 있으면 해보라
4. 착화합물의 정의를 말하라 222
착화합물은 중심금속에 리간드가 배위 결합하여 이룬 착이온을 포함하는 물질을 말합니다.
5. 산과 염기를 정의해 보라.
3가지 정의방법이 있는데
첫 번째로 아레니우스의 산염기 정의입니다.
H+를 내놓으면 산 OH-를 내놓으면 염기라고 정의하였습니다.
두 번째로 브뢴스테드-로우리의 산염기 정의인데 H+를 내놓으면 산 H+를 받으면 염기라고 정의하였습니다.
이 정의는 상대적인 개념이기 때문에 산이나 염기 모두로 작용가능한 양쪽성 물질의 개념도 나오게 되었습니다.
마지막으로 루이스의 산염기 정의인데 전자쌍 받개는 산 전자쌍 주개는 염기라고 정의하였으며 가장 넓은 범위의 산염기 정의입니다.
6. 킬레이트란 무엇인가?
2자리 이상의 리간드가 금속이온과 배위결합 했을 때의 결합이나 이에 의해 생성된 복합체
7. 킬레이트의 중요성 EDTA는 무엇이고 용도, 구조 등에 대한 내용
EDTA는 6자리 리간드로써 4개의 카르복실기와 2개의 아민기가 금속이온에 배위결합 합니다.
8. 신경세포에서 휴지막 전위가 어떻게 생기는지 말하라.
Na+/K+ 펌프에 의해서 나트륨은 세포 밖으로 칼륨은 세포 안으로 수송되며
칼륨채널을 통해 칼륨이온이 밖으로 빠져나가게 되고 세포 내부는 점점 음전하를 띄게 되는데
음전하가 칼륨이온을 붙잡는 힘과 칼륨이온이 세포 밖으로 나가려는 힘이 평형을 이룰 때가 휴지막전위입니다.
9. 활동 전위가 발생하는 그래프 순서
전압의존성 Na+채널이 열리며 탈분극 -> 전압의존성 K+채널이 서서히 열리며 그래프 정점 -> 전압의존성 Na+채널이 닫히고 K+채널이 최대활성을 보이며 그래프 하락 -> 휴지막전위 이하까지 전위가 내려감 -> 휴지막전위 회복
10. 실무율에서 일어나는 피드백 작용
?
실무율 : 역치이상의 자극이 가해지면 반응의 세기가 일정하게 나타나는 것
근육세포와 신경세포에서의 신경반응의 차이점
?
실무율이 적용되는 이유
전압의존성 나트륨채널이 열릴 때 한꺼번에 모두 열리기 때문에 항상 일정한 값을 가지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