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회 전남대 가군
1. FTA 농축산분야 타결에 대한 농민과 정부의 입장이 다른데 각각의 입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농민은 값싼 농축산물이 우리나라에 수입되며 국내의 농축산시장이 수입산에 잠식될 것을 우려하며 최종적으로 식료품의 종속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반면 정부는 다른 분야 예를 들면 전자제품, 자동차등을 판매하기 위해 다른 나라보다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FTA채결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2. FTA 의료자유구역이 의료계에 미칠 영향은?
의료자유구역에 한해 의료민영화가 이루어지게 되고 이는 고비용 고품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게 될 것입니다.
당장 자유구역내부에서 올라간 의료비는 지역 밖으로 퍼져나갈 것이고 전국적인 의료비 인상과 보험료인상이 불가피해 질것이며 국민부담이 커질 것입니다.
3. 의약분업의 당위성은 무엇인가?
진료에 특화된 의사가 진료를 하고 약에 특화된 약사가 약을 내어주고 이중점검 함으로써 오진의 가능성을 줄이고
무분별한 약의 오남용을 줄이게 되었습니다.
4. 성분명 처방이란 무엇인가?
의사의 진찰결과 특정 성분명을 처방하면 약사가 해당 성분이 들어간 약을 골라 약을 제조하는 것입니다.
현재 성분명 처방의 경우 의사협회에서는 반대하고, 정부와 약사협회에서는 찬성하고 있다.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성분명처방에 반대합니다. 성분명처방시 선택되는 약은 오리지널약이나 제네릭약품 혹은 같은 성분이며 다른 제약회사에서 만든 약이 선택 될 것입니다.
문제는 이러한 약들의 성분이 모두 동일한 성분, 동일한 비율로 들어간 것이 아니며 효능 또한 모두 다르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효능이 다른 약은 의사가 환자의 약 복용량을 판단하기 어렵게 만들고 치료결과를 지켜볼 때 증세가 호전된 것이 강한 약을 사용해서 호전된 것인지 진짜로 병이 나은 것인지 판단하기 어렵게 될 것입니다.
5. 등장액이란 무엇인가?
동일한 삼투압을 가진 용액을 말합니다.
6. 0.15M NaCl용액이 등장액이다 0.15M glucose 용액에 적혈구를 넣었을 때 적혈구가 어떻게 되겠는가?
0.15M 포도당용액은 저장액입니다. 적혈구는 0.3M 포도당 용액과 등장액이며
적혈구가 팽창하여 커지거나 터질 것입니다.
7. cis-platin [Pt(NH3)2Cl2]의 모양은 어떻겠는가?
그림추가
8. pt의 산화수를 말하고 NH3의 명칭을 말하시오
+2 NH3 - 리간드 암민
NO-나이트로실
CH3NH2-메틸아민
9. 이 물질이 작용할 때 NH3와 Cl중 어떤 것이 먼저 떨어지며 그 이유는 무엇인가?
22
Cl이 먼저 떨어짐 강한장 리간드가 중심금속과 정전기적 인력이 크고 배위능력이 좋은데 NH3가 Cl보다 더 강한 리간드여서 결합이 더 강합니다.
10. cis-platin은 항암제로 쓰이는 물질이다. 어떤 원리로 작용하겠는지 설명해 보시오
22
DNA의 염기쌍의 질소원자와 같은 친핵체와 반응하여 2개의 염소 원자가 빠져나가며 DNA내의 친핵체와 공유결합을 형성하게 됩니다. DNA사이로 cis-platin이 끼어들어가 암세포 DNA상에 변형이 일어나 DNA합성이 중지되고 암세포는 사멸하도록 유도합니다.
11. morphine의 구조에서 입체중심의 수를 말해 보시오
6개
12. 작용기 1, 2, 3이 각각 산성 염기성 중성 중 어디에 속하는지 판단해 보시오
?
13. 약산성 조건에서 각 작용기들이 어떻게 변하겠는가? ????
222
질소의 비공유전자쌍이 전자를 붙잡아 암모늄이온이 되는 형태가 늘어나거나
알켄의 첨가반응이 일어날 수도 있다. 이때 자리옮김 반응을 통해 피나콜 재배열과 같은 형태로 반응할 수 있다.
14. 활성산소는 인체에서 생성되어 DNA나 단백질 등을 공격한다.
생체 내에서 활성산소가 생성되는 기작은?
산화적 인산화 과정의 최종전자수용자인 산소가 전자를 수용하는 과정 중에 생기거나 식세포의 방어과정 중에
발생하여 면역반응을 하기도 합니다.
15. 활성산소에 대한 방어기전은?
체내의 SOD나 항산화 능력을 가진 비타민A, E, C에 의해 방어됩니다.
SOD : 초과산화이온을 산소와 과산화수소로 바꿔 주는 불균등화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이다
16. 생체에서 ph를 유지하는데 단백질의 역할이 중요하다. ph유지에 단백질이 하는 역할은?
단백질의 단위체인 아미노산은 카르복시기와 아미노기를 모두 가지고 있으며 이는 양성자 받개와 양성자 주개로 작용
가능합니다. 때문에 ph를 변화시키는 외부 요인이 작용하여도 단백질이 어느 정도 ph변화를 상쇄시켜 줄 수 있으며
각 아미노산의 R기에 존재하는 작용기도 같은 역할을 수행 가능합니다.
17. ph조절에 기여하는 아미노산은?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은 산성아미노산으로써 PI값이 낮습니다. 이는 PI값보다 높은 ph환경에서 수소 양이온을 내놓아 주위를 산성화 시킵니다.
반면 히스타민 리신 아르기닌은 염기성아미노산으로써 PI값이 높습니다. 이는 PI값보다 낮은 ph환경에서 수소 양이온을 잡아 주위를 염기성화 시킵니다.
18. 시상하부에서 온도를 어떻게 감지하는가?
말초온도수용기의 피부온도와 중추온도수용기에서 신체중심온도를 감지해서 시상하부의 열 조절 중추에서 감지합니다.
19. 시상하부는 자율신경과 호르몬의 작용을 통해 체온을 조절한다. 어떻게 체온을 높이는가?
교감신경계를 통해 피하혈관을 수축시키고 갈색지방을 활성화 시키며 땀분비를 줄이고 입모근을 수축시킵니다.
또한 티록신과 아드레날린같이 대사활성을 높이는 호르몬을 분비하여 대사량을 높여 열을 발생시킵니다.
골격근을 떨어 열을 발생시킵니다.